학술논문
<운영전> 작자 고증
이용수 240
- 영문명
- Historical Research of Author of Un yeong-jeon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박희병(Park, Hee-byoung)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42호, 5~69쪽, 전체 6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10,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운영전>은 한국고전소설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 작자가 밝혀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자세한 고증을 통해 이 작품의 작자가 성로(成輅, 1550~1615)임을 밝혔다. 성로는 『석전유고』(石田遺稿)를 남겼는데, 이 논문은 이 저술과 <운영전>과 성로 동시대의 문인들이 남긴 기록, 이 3자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운영전>의 작자가 성로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성로는 사육신의 한 사람인 성삼문의 후손이다. 성로가 <운영전>의 작자라는 사실이 밝혀짐으로써 이 작품에 하필 성삼문이 등장하는 이유가 비로소 해명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안평대군이 그리도 긍정적으로 그려진 이유가 온전히 이해될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초록
Although Un yeong-jeon is a highly important work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 novels, its author remains unknown to date. Through in-depth historical research this paper reveals Un yeong-jeon was written by Seong Ro(成輅, 1550-1615). Another work of Seong Ro is Seokjeonyugo, which is analyzed in this paper together with Un yeong-jeon and the documents left by other writers of the time. This analysis has reached the conclusion that Un yeong-jeon was written by Seong Ro. He is a descendant of Seong Sam-mun, one of the “six martyred ministers.” Identifying Seong Ro as the author of Un yeong-jeon finally explains why Seong Sam-mun appears in the work, as well as the reason why Grand Prince Anpyeong is depicted so positively.
목차
Ⅰ. 머리말
Ⅱ. 성로(成輅)의 생애
Ⅲ. 성로를 작자로 보는 근거
Ⅳ. 성로의 <운영전> 창작 동기
Ⅴ. <운영전>의 창작 시기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