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문자전」 연구
이용수 254
- 영문명
- A Study on Gwangmunjajeon廣文者傳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안순태(An, Soon-Tae)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42호, 99~12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암이 18세 무렵에 지어 하루아침에 자신의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는 「광문자전」의 뛰어난 점은 어디에 있는가, 이것이 이 글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연암은 수학기에 「광문자전」 본전(本傳)을 짓고, 십여 년 후 「광문자전」에 대한 서후(書後)를 짓는다. 본고에서 주된 관심 대상으로 삼은 것은 그중 본전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본전의 서사적 완결성과 고문사로서의 뛰어난 점을 집중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본전의 서사는 ‘서사 단락 간 계기적 서술’과 ‘서사 단락의 공교로운 배치’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전 서사는 크게 네 단락으로 되어 있다. 그중 첫째, 둘째, 넷째 단락은 각각 광문이 유명해지기 전, 유명해지게 된 계기, 유명해지고 나서의 일화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이 작품을 읽으면서 순차적 구성으로 인해 획득된 시간성을 부지불식간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시간적 순차성을 띠는 것만으로도 일정하게 높은 서사적 완결성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지만 보조 인물들을 통해 서사의 단락과 단락 사이를 계기적으로 긴밀하게 엮고 있어 서사적 완결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또 각 단락이 갖추고 있는 ‘갈등-해소’의 구조가, 서사 진행에 따라 반복됨으로써 이야기의 리듬감이 형성되고 있으며 각 단락에서 작품의 주제인 ‘신(信)’을 반복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는 점도 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셋째 단락은 일견 광문에 대한 단순 정보들을 열거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 또한 추한 용모와 어눌한 언변,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 얽매이지 않는 분방한 성격 등 광문의 다양한 면모를 특징적으로 개괄, 주요 일화들로 드러내지 못한 광문의 캐릭터를 보완하고 있다. 연암 스스로 이 작품을 자신의 출세작으로 여겼는데, 당시 연암이 ‘고문사’로 이름이 나게 된 것도 이 작품 덕분이었다고 했다. 생동하는 주인공과 보조적 인물들을 서사적 완결성을 갖추어 형상화한 것 자체만으로도 이 작품이 고문사로 높이 평가받은 이유다. 게다가 연암은 수학기에 특히 『사기』를 애호하였거니와 작품 곳곳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었는데, 『사기』의 기법을 활용하되 「광문자전」에 밀착된 서술을 하여 『사기』를 제대로 본받았다고 할 수 있다. 「광문자전」은 본전을 먼저 지은 후 이어서 서후, 『방경각외전』 자서(自序)를 차례로 지었다. 그 과정에서 광문의 모델인 실존 인물 달문에 대한 세간의 평가가 달라지게 된다는 점 역시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전을 지을 당시 달문은 세상에서 신의 있는 인물로 명성이 높았으며 이에 따라 연암은 본전에서 광문을 신의(信義)를 표상하는 인물로 그려내고 있다. 반면 달문에 대한 평가가 달라진 이후, 즉 달문의 명성이 지나쳐 오히려 그것 때문에 화를 입게 된 이후에는 명성을 다투는 이들에 대해 경계하는 의미가 후서와 자서에 담기게 된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광문자전」 본전은 후서나 자서를 빌리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한 편의 완성도 높은 역작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What is the outstanding point of Gwangmunjajeon廣文者傳, which is said to have been written by Yeonam燕巖 around the age of 18 and made his name known in one day. Yeonam wrote the original biography of Gwangmun in the early years, and ten years later, he wrote the reminiscence of Gwangmun. The main subject of interest in this paper is the original biography of Gwangmun. Whether to view the original biography and reminiscence as the same narrative or as separate narratives has been the main point of research on this work. I think the original biography of Gwangmun is a work of complete narrative in itself, and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narrative completeness of the original biography and its superiority as a classical work. The narrative of the original biography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arrangement of narrative segments and close connection between narrative segments. The narrative of original biography is largely composed of four segments, of which the first, second, and fourth segments are composed of an anecdote before Gwangmun became famous, an anecdote about the moment when Gwangmun became famous, and an anecdote after becoming famous. As we read this work, it is easy to get into by the interest that comes from each episode, but we unknowingly accept the time variance acquired by the sequential composition. This time variance can be said to have a narrative completeness, and the natural connection between the segments and segments of the narrative through auxiliary characters enhances the completeness of this work. The appearance of auxiliary characters from homeowner to drugstore owner and from drugstore owner to Unshim, a gisaeng is not only lively in the work itself, but also contributes to the multifaceted highlighting of the theme of this work, faith. On the other hand, the third segment seems to enumerate bits of information about Gwangmun at first glance, but this also features a characteristic overview of Gwangmun s humanity, such as Gwangmun s ugly appearance and poor speech, and nevertheless being considerate and unconstrained, and has not been revealed as major anecdotes. It can be said that it complements the character of Gwangmun. The original biography of Gwangmun, the reminiscence, and the author s preface of Banggyeonggakwejeon放璚閣外傳 should be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how each was written. At the time of the creation of the original biography, Dalmun達文(another name of Gwangmun) had a high reputation as a person of trust in Joseon, and accordingly, Yeonam portrayed Gwangmun(Dalmun) as a person representing faith with narrative integrity in the original biography. The whole narrative of original biography highlights the value of faith. On the other hand, after the evaluation of Dalmun changed, the meaning of caution against those struggling for fame is contained in the reminiscence, and the author s preface of Banggyeonggakwejeon.
목차
Ⅰ. 서론
Ⅱ. 본전(本傳)과 서후(書後), ‘달문’과 ‘광문’
Ⅲ. 본전(本傳)의 서사적 특징
Ⅳ. 고문사(古文辭)로서의 성취와 사기의 영향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