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의 최근 연구경향
이용수 1,934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f Family and couple counseling through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부부가족상담협회
- 저자명
- 이지영(Lee, Jee-Young) 천성문(Cheon, Seong-Moon)
- 간행물 정보
- 『부부가족상담연구』제1권 제2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에 있어서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5년-2020년에 발표된 235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Textom과 UCINET을 활용하여 단어출현빈도를 분석하고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반적인 추이 분석을 위한 빈도 분석과 전체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 중심성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전반적인 추이 분석 결과, 최근 6년 동안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의 연구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별 추이는 문헌연구의 경우 점차 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학술지논문에서 질적연구가 학위논문에서 혼합연구가 각각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주제별 추이는 가족 및 부부상담에 대한 주요 개념과 모델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가족 및 부부가 경험한 문제 상황이나 특수 대상을 주제로 한 연구가 학술지논문을 통해서 다수 발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키워드 간 평균 연결정도와 연결선 간 평균거리를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키워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 변인들 간의 연관성이 높고 주요 주제 간의 연결성과 맥락 등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사성 집단을 확인하기 위한 CONCOR 분석 결과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주로 가족치료기법, 부부, 소통과 갈등, 위기 및 극복, 부부 상담 프로그램 등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의 연구 경향성에 나타난 이와 같은 특징들이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amily and couple counseling area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using the database of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235 papers published in 2015-2020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key words were selected using Textom and UCINET 6 s NetDraw program, the frequency of word occurrence was analyzed and visualized. In order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frequency analysis, structural characteristic analysis, structural equivalence analysis, entire network, and centrality analysis were applied. The major findings ar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the last 6 years, studies in the field of family and couple counseling have decrea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in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search is gradually decreasing. And in recent year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increasing in journal papers, and mixed research methods are increasing in degree thesis. As for the research subject, research on the concept and model of family and marital counseling have been steadily published. And on the subject of Special group, problem situations experienced by families and couples were also being published through journal articles. Secondly, analyzing the averag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keywords and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connection lines, most of the keyword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is high, and the connection and context between the main topics are similar. Thirdly, the results of CONCOR analysis to confirm the similarity group are as follows. Research conducted in the area of family and couple counseling which was confirmed to be conducted within the categories of family therapy techniques, couples, communication and conflict, crisis and overcoming, and couple counseling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ubsequent research in areas of family and couple counseling.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