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육효능감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이용수  1,517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Parenting Efficacy Improvement Program
발행기관
한국부모교육학회
저자명
정미현(Jeong, Mi-hyun) 이경주(Lee, Gyeong Ju)
간행물 정보
『부모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9~3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예측하는 결정적 요인인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프로그램 처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에 따른 사전검사 평균차이 검증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평균차이 검정 결과(t=-1.42, P=0.1631) 두 집단의 차이가 없었는데 집단에 따른 사후검사 평균차이 검정 결과(t=3.56, P=0.00)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사전검사에서 집단 간 평균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처치 후 사후검사에서 평균 차이를 보였다는 것으로서 프로그램의 처치 효과가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각 하위요인별로 집단 간 사후검사 평균차이 검정결과 모든 하위요인의 평균에서도 프로그램의 처치효과가 나타났다. 각 집단에서의 사전·사후검사 평균차이 검증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정되었으므로, 검사형태에 따른 각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는데 실험집단에서 사전·사후검사 평균차이 검정 결과(t=-6.61, P<0.000) 유의수준 0.05보다 매우 낮으므로 평균차이가 나타났다. 사전검사 실시 후 프로그램 처치를 가하고 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의 처치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주는 결과이다. 또, 각 하위 요인별로 평균차이 검정결과 유의수준이 모두 0.00보다 낮으므로, 집단1인 실험집단에서 각 하위요인별 사전·사후검사의 검사결과 차이가 나타남으로서 모든 하위요인별 처치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arenting efficacy improvement program. The object of this program result by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parenting efficacy of the parent who had children. For this purpose, It was established the next question; Is there a effect on promotion of parenting efficacy to parent? SPSS 15.0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parenting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by the person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ing efficacy improvement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On the pre-post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ople show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measures of parenting efficacy program. On the pre test, the people showed low levels on parenting efficacy, but on the post test, the people showed high levels on parenting efficacy. Therefore parenting efficacy improvement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parenting efficacy.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현(Jeong, Mi-hyun),이경주(Lee, Gyeong Ju). (2020).양육효능감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부모교육연구, 17 (3), 19-37

MLA

정미현(Jeong, Mi-hyun),이경주(Lee, Gyeong Ju). "양육효능감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부모교육연구, 17.3(2020): 19-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