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귀납적 사고법’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와 적용
이용수 69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ductive Reasoning Model as an Instructional Model in Art Lessons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적(Eun-Jeok L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27권, 135~1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과정해설서와 교사용지도서에서는 미술 교과의 교수·학습 모형으로 귀납적 사고법, 반응 중심 학습법, 직접 교수법, 창의적 문제 해결법을 제시하면서 이의 현장 적용을 권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업에서의 귀납적 사고 모형이란 교사가 일련의 자료나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학생들은 스스로 자료를 수집하고, 검증하는 절차를 거쳐 어떤 결론, 일반화, 혹은 관련성을 추론하는 교수·학습 모형이다. 미술과에서는 미술 교과의 특성에 맞게 ① 문제 인식 → ② 관계 탐색 → ③ 개념 발견 → ④ 개념 적용 → ⑤ 정리 및 발전의 절차를 도출하였고 단계별로 적절한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중의 하나로 개발된 ‘귀납적 사고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 또한 적용할 수 있는 학습 주제를 새로 집필된 3, 4학년 교과서에서 찾아보며 그를 적용해보는 방식을 제시하고 적용상의 유의점을 검토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Inductive Reasoning Model’ as an instructional model in art lessons. Confirming that there is the concepts to be learned(comprehended) and the aesthetic recognition ability to be developed in Visual Art, this study examines the ‘Inductive Reasoning Model’ which is spreaded as the instructional method in other disciplines,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and the adjustment in art lesson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constructed as follows:First, it comprehends the concept of inductive reasoning and general inductive reasoning model, and examines its concept for art lessons. Second, it examines the procedure of inductive reasoning model by steps in others disciplines, and explores its adjustment for art lessons. Third, it provides the actual lessons plans as examples. Finally, it suggests the originalities of inductive reasoning model and the considerations on its application in art lessons.
목차
Ⅰ. 서 론
Ⅱ. 귀납적 사고와 사고 모형 개념
Ⅲ. 귀납적 사고 모형의 수업 절차
Ⅳ. 귀납적 사고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수업의 실제
Ⅴ. 미술과 귀납적 사고 모형의 특성과 적용상의 유의점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thinking Aesthetic Education
- 아동복지시설의 미술 수업에 대한 비평
- 여러 나라 1, 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과 통합 교과 B의 비교 연구
- Creating an Activity Sheet To Enhance Art Museum Learning
- 초등미술에서 캐릭터의 교수-학습 방법
- ‘귀납적 사고법’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와 적용
- 미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 연구신장 연구
- 미술교육에서 문화유산 교육에 대한 논의
- 전통그림 읽기를 통한 감상지도 모색
- 학교생활그림(KSD)에 나타난 반응 특성과 성격 5요인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