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잠재프로파일의 전이양상과 핵심역량 예측요인 검증
이용수 124
- 영문명
-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College Student 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files and its Predictors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장희선(Chang, Hee-sun)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2권 제4호, 113~14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A대학교 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잠재집단 프로파일과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역량의 예측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2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관관계, 잠재프로파일, 잠재전이분석 및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 잠재프로파일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잠재집단은 학기초와 학기말 모두‘낮은 자기주도학습형’, ‘중간 자기주도학습형’, ‘높은 자기주도학습형’각각 3개 유형 분류되었다. 둘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잠재전이분석 결과, 자기주도학습형의 잠재집단은 학기말에도 학기초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잠재집단이 유지되는 패턴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전이 되는 패턴이었다. 자기주도학습 하위요소의 변화는 ‘낮은 자기주도학습형’의 하위요소는 더 낮게, ‘높은 자기주도학습형’의 하위요소는 더 높게 나타나 하위요소의 양적 수준 차가 보다 커지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잠재집단전이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 중에 셀프리더십 핵심역량이 가장 폭넓은 예측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잠재집단에 따른 역량기반 교육과정 방향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files of transitional students from before to after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data, as well as the transition process of student groups and the predicted effect of competency factors. Correlation analysis, latent profile, latent transi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421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s of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three group types each respectively with ‘Low’,‘Middle’,‘High’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ype respectively. Second, the gap between low and hi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ype appears to be greater. Third, concerns for self-leadership were the biggest predictor that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to hi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yp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