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과의 선험적 정당화
이용수 249
- 영문명
- The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of School Subjects : Form of Knowledge and Form of Life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구리나(Ri-Na Ku)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293~3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피터즈는 선험적 정당화를 통하여 지식의 형식의 가치는 그것을 논하는 논의의 논리적 가정으로 들어있다는 주장을 한다. 그러나 그의 정당화는 형식적 정당화이며, 선험적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선험적 정당화라는 비판을 받는다. 피터즈는 형이상학적 실재를 배제한 채 교과와 마음 간의 논리적 관련만으로 교과를 정당화하고자 하며 이와 같은 그의 문제의식은 ‘말할 수 있는 것’을 통하여 ‘말할 수 없는 것’을 전달하고자 한 비트겐슈타인의 문제의식과 유사성을 띤다. 비트겐슈타인이 「철학연구」에서 제시한 아이디어는 언어게임을 통하여 삶의 형식을 확립한다는 것이다. 피터즈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으로부터 시사를 받는다면 그는 지식의 형식의 가치는 그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활동에 의하여 정당화된다는 점을 말함으로써 선험적 정당화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Peters, the form of knowledge can be justificated by presupposition from the discourse about justification of form of knowledge itself. That is called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which is named after Kant s transcendental philosophy. The point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consists in justification of form of knowledge only by logical relation between school subjects and mind without dependence on the metaphysical.
The aim of Peters as such seems much likely as the one consistent question making Wittgenstein s early and late philosophy into one single idea : how is it possible to convey what cannot be said through what can be said .
That is to say,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nd Tractatus can be interpreted two different answers to the one question that this implies that what cannot be said can be shown by what cannot be said , meanwhile that implies that language game presents the form of life. What should be noted here on the answer from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s that the form of life is the idea that is not given to us arbitrarily and that i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our everyday life. This idea focusing on the temporal processes of educational practice can help Peters overcoming the weakness that his justification remains only just the formal justification without any contents.
목차
Ⅰ. 서론
Ⅱ. 내재적 정당화 : 피터즈
Ⅲ. 선험적 정당화 : 비트겐슈타인
Ⅳ. 지식의 형식과 삶의 형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