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념 실현의 한 방법
이용수 44
- 영문명
- A Method of Pursuing the Idea: Philosophy of Nietzsche as Metapraxis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철(Sang-Cheol Park)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127~1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니체는 희랍의 비극작품에서 올바른 삶의 모습을 보았다. 그곳에서 그는 디오니소스적 요소와 아폴론적 요소가 결합된 삶을 사는 인간, 삶의 현실이 가져다주는 제약 속에서도 거기에 안주하지 않고 마음에 품은 이념을 향해 끊임없이 눈길을 돌리는 인간을 보았다. 그것은 곧 소크라테스가 보여주었던 삶이며, 예수가 되살려내고자 했던 삶이다. 니체가 보기에, 소크라테스와 예수는 숭배 또는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모방의 대상이다. 다시 말하여 우리는 소크라테스와 예수가 행했던 실천을 따라 행함으로써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다.
영문 초록
Nietzsche found the ideal of just life in the tragic works of ancient Greeks. At there, he saw the image of ideal and just man who combines dionysian element with apollonian element, who always tries to pursue it Idea, regardless of various kinds of actual restriction. It is the life that Socrates shows to the humankind and Jesus tries to revive in this world. According to Nietzsche, Socrates and also Jesus is not the object of worship or faith, but the model of imitation; Our life is just in so for as we practice the act of Socrates and Jesus.
목차
Ⅰ. 서론
Ⅱ. 소크라테스, 비극의 화신
Ⅲ. 예수, 비극의 부활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