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그 개념적 관련성 고찰
이용수 1,226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ceptual Connections among Art, Education, and Culture for the Quality-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곽덕주(Duck-Joo, Kwak) 서정은(Jeong-Eun, Seo)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5권 제5호, 29~5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담론 및 접근에서의 개념적 혼동을 줄여 현장의 문화예술교육실천가들의 실천에 보다 명료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정책에서 가정 되어야할 ‘예술’ 및 ‘예술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개념적으로 명료화하는 데에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근대적 예술관에 기반한 예술교육 접근으로서 ‘예술을 위한 교육’, ‘예술에대한 교육’, ‘예술을 통한 교육’ 이라는 세 개념을 각각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둘째, 이러한 세 가지 접근을 보다 통합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하는 탈근대적 예술이론의 기초로서 존 듀이와질 들뢰즈의 예술관에 주목하여 분과적인 근대 예술관을 넘어서는 예술의 의미 및 교육적 가치를탐색할 것이다. 셋째, 이를 통한 예술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예술’, ‘교육’, ‘문화’를 어떻게 내적으로 새롭게 연결시키는지를 살필 것이다. 이러한 연구내용들은 문헌연구에 기초한 논증의 방법을 통해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되고 검토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듀이와 를뢰즈의예술관에 기초하여 예술 교육이 그 고유의 정신을 실천하고 지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때, 우리의 삶에서 예술은 교육과 문화를 유기적으로 매개하는 실천적 활동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근대적 예술관에 기초한 위의 세 가지 예술교육접근을 새롭게 범주화하는 한 가지 새로운 방안(예술 안에서의 교육, 교육 안에서의 예술, 사회 안에서의 예술)을 시험적으로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and clarify the conceptual connections among art, education and culture, which have been vague and confused in the arts education policy in Korea. The confusion was always the source of troubles for arts education practitioners in Korea since it tends to lead them into totally different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in their practices.
In doing so, the paper first critically examines three commonly received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for the last few decades: education for the sake of arts,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bout arts, to see if the way each approach views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arts and education can be valid for contemporary arts education today. Second, it examines two distinctive thinkers’ philosophical views on arts, John Dewey’s and Gilles Deleuze’s, to see if they can provide better concepts of the relation between arts and education where arts-experience is itself educative. Finally, the paper boldly attempts to show how art, education and culture can be conceptually connected in such a way as to give a direction on how arts education is to be delivered in the practice. This suggestion is supposed to show how arts education can be a way of awakening aesthetic experiences in the learner, where a principle of arts or artistic spiri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growth of learners’ being.
In conclusion, the paper proposes a new way of framing arts education in Korea: education in arts, arts in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in society. These are all supposed to be governed by principles of arts or artistic spirit in their educational approaches because doing arts are the very way of being educative.
목차
Ⅰ. 서론: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Ⅱ. 비판적 고찰: 세 가지 접근의 예술교육
Ⅲ. 새로운 예술관에 기초한 예술과 교육의 내적 관계
Ⅳ. 예술과 교육, 그리고 문화: 그 개념적 관련성
Ⅴ. 결론: 교육적 가치에 기반한 세 가지 범주의 예술교육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Teaching Case of Hands-on Activities on Cultural Arts Exchange : Lessons Learned from New Zealand Māori Visit to Korea
- 유아교사가 체험한 숲에서의교육생성에 대한 후기질적연구
-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그 개념적 관련성 고찰
- 직업훈련상담에서의 문화적·연행적 관점 전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예비 예술치료사의 자아성장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경험 중심의 현상학적 연구
- 초등학생 기악실기 개인레슨의 비대면 실기교육 선호에 관한 연구
- 액션페인팅의 학습 내적동기 유발 기능을 적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효과 탐색
- 확장적 교육환경으로서의 디지털 시대의 참여적 박물관
- 생애전환기 신중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제스처 기반 무용교육이론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