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맞벌이 부부 남녀의 일․생활 갈등 영향요인: 일․생활 갈등 수준이 높은 집단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778

영문명
Factors Affecting the Work-life Conflict of Dual-earner Couple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ith a High Level of Work-life Conflict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최하영(Choi Hayoung) 진미정(Chin Meejung)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7권 제3호, 79~10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 남녀의 일·생활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 요인, 가사·돌봄 요인, 주관적 태도 요인을 도출하고 갈등 수준이 높은 집단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국 만 30-59세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 중 89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일·가정 갈등, 일·여가 갈등, 일·성장 갈등의 영향요인을 검증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갈등 점수가 제3분위수 이상인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일·가정 갈등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일·여가 갈등과 일·성장 갈등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부정적인 부부 의사소통은 맞벌이 남성과 여성의 모든 일·생활 갈등 하위요인을 증가시키는 공통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높은 경력 지향은 일·생활 갈등이 높은 맞벌이 여성과 남성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맞벌이 부부의 일·생활 갈등에 부부 단위의 상호작용과 주관적, 심리적 태도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파악하였고, 일·생활 갈등의 일반적 영향요인과 일·생활 갈등 수준이 높은 집단에 대한 영향요인을 구분하여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갈등 수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파악한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일·생활 갈등 위험에 노출된 맞벌이 부부를 지원하기 위한 예방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work-life conflict of dual-earner coup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suffering high levels of this type of conflict. Using survey data of 894 married working couples aged 30-59 in Korea, factors related to labor, housework and subjective attitudes were regressed on work-family conflict, work-hobby conflict and work-growth conflict, and we examined how these factors affect those with work-life conflict scores exceeding third quartile through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work-family conflict was not different by gender, whereas work-hobby conflict and work-growth conflic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Second, negative couple communication increased all types of work-life conflict in both men and women. Finally, a high level of career orientation wa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both women and men experiencing high work-life confli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dentifying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the conflict level is important to establish preventive intervention measures for dual-earner couples vulnerable to work-life conflic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하영(Choi Hayoung),진미정(Chin Meejung). (2020).맞벌이 부부 남녀의 일․생활 갈등 영향요인: 일․생활 갈등 수준이 높은 집단의 특성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7 (3), 79-107

MLA

최하영(Choi Hayoung),진미정(Chin Meejung). "맞벌이 부부 남녀의 일․생활 갈등 영향요인: 일․생활 갈등 수준이 높은 집단의 특성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7.3(2020): 79-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