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성인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 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266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arental Role Experiences of Fathers of an Early-adult Child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김수지(Kim, Soojee) 이선희(Rhee, Sun-Hee) 권두리(Kwon, Du Ri)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27권 제3호, 137~16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성인기 자녀를 둔 중년기 아버지들이 부모로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기성인기 자녀를 1명 이상 둔 아버지 총 11명을 심층면접하고,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25개의 의미단위와 11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4가지 범주는 ‘확장된 자녀청소년기와 지연된 자녀독립기’, ‘자녀의 발달에 따른 아버지 역할의 변화’, ‘아버지로부터 영향을 받은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 ‘노년기를 맞이하기’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아버지들은 취업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성인 자녀에 대한 걱정과 안쓰러움을 느끼고 있었고, 성인 자녀의 진로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였으며, 자신의 성인기와 다른 자녀의 모습을 수용하려고 노력하였다. 둘째, 본 연구 참가자들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뒤늦게 깨달았고, 어린 시기에는 그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했지만 아버지 자신의 노력을 통해 부모-자녀 관계가 변화됨을 느끼게 되었다. 셋째, 자신의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양육에서 벗어나 자녀와 친밀하게 지내려 하였으며, 성인 자녀를 위해 끊임없는 희생을 보였다. 넷째, 성인 자녀를 둔 아버지들은 부모 역할을 성공적으로 해나가야 함과 동시에 자식으로서 노부모를 보살피고 앞으로 다가올 자신의 노년기를 준비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성인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학문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of middle-aged fathers as parents of an early-adult child. For this purpose, we interviewed eleven fathers with one or more early-adult child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four categories, eleven topics, and twenty-five semantics were emerged. The four categories were ‘extended child adolescence and delayed child independence’, ‘changes in the father’s role with child development’, ‘awareness of the parental role influenced by the father’, and ‘facing old age’. In conclusion, first, the fa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concerned and felt sorry for their early-adult children who had difficulty finding a job, and supported and remained interested the careers of their early-adult children. Secon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belatedly realized the importance of fatherhood in raising children, and although they did not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in their early years, the fathers’ own efforts led to change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ird, fathers with early-adult children attempted to get along with their children by escaping from the parenting inherited from their parents, and made constant sacrifices for their early-adult children. Finally, fathers with early-adult children recognized that they should successfully play the role of a parent while also taking care of their elderly parents as children and preparing for their upcoming old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cadem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middle-aged fathers with unmarried adult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지(Kim, Soojee),이선희(Rhee, Sun-Hee),권두리(Kwon, Du Ri). (2020).초기성인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 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27 (3), 137-163

MLA

김수지(Kim, Soojee),이선희(Rhee, Sun-Hee),권두리(Kwon, Du Ri). "초기성인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 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27.3(2020): 137-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