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진로지지와 대학생의 성격요인이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249

영문명
The effects of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personality factors on college students’commitment to career choic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al self-efficacy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전미리(Mee-Ri Jeon)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4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을 촉진하기 위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사회인지 진로자기관리모형의 가정에 따라 환경 맥락적 지지, 성격요인,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선택몰입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환경 맥락적 변인은 부모의 진로지지이며, 대학생의 성격요인은 외향성, 성실성, 정서 안정성이다. 부모진로지지와 대학생의 성격요인은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단, 자율성과 심리적 독립이 중요한 대학생들의 특성상 부모진로지지는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를 경쟁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수도권과 충청권의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448명(남: 203명, 여: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의 진로지지는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선택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 매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경쟁모형이 채택되었다. 둘째,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선택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성격요인은 성실성, 정서 안정성으로 나타났다. 외향성 성격요인은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선택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 촉진을 위한 진로 상담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정서 안정성과 성실성, 부모진로지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ccording to the assumptions of the Social Cognitive Career Self-Management model. The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variables set in this study are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personality factors are Extro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 448 students (male: 203, female: 245)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ffec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rough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al self-efficacy indirectly. Second, personality factor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rough the career decisional self-efficacy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be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Extrovert personality factor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for career decisional self-efficacy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t is important to improve career decisional self-efficacy in career counseling to promote college studen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Emotional Stability, Conscientiousness, and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미리(Mee-Ri Jeon). (2020).부모진로지지와 대학생의 성격요인이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39 (4), 1-24

MLA

전미리(Mee-Ri Jeon). "부모진로지지와 대학생의 성격요인이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39.4(2020):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