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을 통한 훈련시장 정화 인식도 차이 분석

이용수  43

영문명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Training Market Purification through Fraud Prevention Education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정선정(Jeong, Sun Jeong)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4호, 91~11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을 통하여 훈련시장이 얼마나 정화되었는지 행정당국인 지방관서와 훈련을 실시하는 기관의 인식 수준과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훈련시장 정화 인식에 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지방관서와 훈련기관 담당자의 유효 응답자료(각 70명, 227명)를 수집하여, 기술통계와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예방교육을 통한 전체적인 훈련시장 정화 인식도는 4.38로 매우 높았다. 하위요인별로 예방활동 실천(4.46), 부정훈련 이해도 및 경각심(4.41), 부정훈련 예방(4.36), 부정행위 감소(4.27) 순으로 모두 높았다. 둘째, 이해 관계자에 따라서 훈련기관을 관리하고 지도감독하는 고용센터는 예방교육을 통한 훈련시장 정화 인식도를 4.13(3.87~4.13)으로 응답한 반면, 고용센터의 행정관리를 받고 있는 훈련기관은 4.50(4.39~4.61)으로 훨씬 더 높게 인식하였다. 이는 부정훈련에 대한 지도감독 및 예방교육 등을 실시하는 행정주체인지, 그로부터 행정관리를 받고 있는 관리대상인지에 따라서 각 역할과 처한 입장에 따라서 훈련시장 정화 인식도의 수준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훈련기관의 변화에 대한 질적 응답자료를 분석한 결과, 훈련시장 정화 인식도 구성요인과 동일하게 4가지 범주화와 고의적인 부정훈련 등 추가적인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4가지 구성요인 중 3가지(부정훈련 이해도 및 경각심, 예방활동 실천, 부정훈련 예방)는 지방관서와 훈련기관의 동일한 관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나머지 1개 요인(부정훈련 감소)과 고의적인 부정훈련 등은 훈련기관의 기타의견 자료가 없어 고용센터의 응답자료 만으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지방관서와 훈련기관이 인식하는 훈련시장 정화에 대해 3가지 요인은 동일한 관점으로 인식하고, 나머지 1개 요인과 추가적인 범주화 사항은 다르게 인식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각 기관의 역할과 입장에 따라서 훈련시장 정화의 범위와 정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인식함에서 오는 차이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ch the training market has been purified through fraud prevention education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to analyze the level of perception and difference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raining institutions. To this end, a measurement tool for recognition of the purification of the training market was developed, and effective response data (respectively 70 people and 227 people) from local authorities and training institutions were collected, and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recognition of purifying the training market through preventive education was very high at 4.38. By sub-factor, prevention activity practice (4.46),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fraud training (4.41), prevention of fraud training (4.36), and decrease in fraud behavior (4.27) were all high in order. Second, the job center, which manages and supervises training institutions according to stakeholders, responded with 4.13 (3.87~4.13), while the training institutions under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of the job center answered 4.50 ( 4.39~4.61) was perceived much higher. Depending on whether it is an administrative subject that conducts supervision and prevention education for fraud training, and whether it is a management subject receiving administrative management from him,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purification in the training market according to each role and posi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qualitative response data to changes in training institutions, the recognition of the training market purification was categorized in the same way as the constituent factors, and additional categorization such as deliberate fraud training was conducted. Three of the four components (understanding of unjust training and awareness of awareness, practice of preventive activities, prevention of unfair training) were able to confirm the same perspectives of local authorities and training institutions, but the remaining one factor (reducing fraud training) and deliberate fraud training were categorized only by the response data from the local authorities because there was no other opinion data from the training institution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hree factors are perceived from the same perspective and the other one and the additional categorization are differently perceived by the local authorities and training institutions.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 from recognition by setting the range and degree of training market purific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ole and position of each institu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선정(Jeong, Sun Jeong). (2020).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을 통한 훈련시장 정화 인식도 차이 분석. 직업교육연구, 39 (4), 91-112

MLA

정선정(Jeong, Sun Jeong).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을 통한 훈련시장 정화 인식도 차이 분석." 직업교육연구, 39.4(2020): 91-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