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경계선 지적지능 학생의 언어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579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language related research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류인혜(Ryu, In-Hye)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1권 제2호, 65~9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의 언어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연구에 나타난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의 언어 관련 연구 동향과 중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들은 2005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 논문 31편이다. 분석 결과, 연도별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의 언어와 관련된 연구의 수가 많지 않았고,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이 주를 이루었다. 이들은 모두 지능지수에 의해 진단되었다. 또한 비교연구와 중재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경계선 지적 지능학생의 언어적 특성을 밝히는 비교연구는 주로 구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중재 효과를 밝혀내고자 하는 중재연구는 주로 문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연구는 주로 상위언어기술과 읽기, 쓰기를 다루고 있었는데,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들은 평균지능 또래집단에 비해 수행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의 중재는 모두 구조화된 상황에서 이루어졌는데, 읽기 중재는 주로 1:1의 개별 형태에서 중재자 주도의 직접 교수인 전통적 중재가 이루어졌으며, 쓰기 중재는 주로 그룹 형태에서 기능적 중재가 이루어졌다. 중재 자료는 읽기 영역에서는 문학작품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쓰기 영역에서는 연구자가 자체 제작한 자료가 많이 이용되었다. 중재 기간은 1~15회기가 가장 많았다. 중재 목적은 전반적인 읽기, 쓰기 하위 발달들의 능력 향상이었으며, 중재 결과 모두 긍정적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languagerelated stud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functioning at the borderline, and to do so, it is analyzed focusing on the linguistic intervention analysi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functioning at the borderline. The research subjects were 31 journal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5 to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tinuous research was conducted by year, but there were not many studies related to the language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functioning on the borderline,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intervention studies that tried to reveal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ly focused on literary. The study mainly dealt with metalinguistic, reading and writing, an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tudents had difficulty performing compared to the average intelligence peer group. The intervention purpose was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overall reading and writing subdevelopments, and the intervention results showed positive impro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읽기이해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읽기이해 검사도구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 한국수어의 순차적 결합 구조 특성 탐색
- ADHD아동의 사회적 관계성 증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의사소통장애를 위한 협력적 팀 접근에서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 조사
- 국내 경계선 지적지능 학생의 언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난청학생의 성장 배경에 기초한 가정환경 및 의사소통 방법에 관한 연구
- 한국수어 예비 교원의 모의수업에서의 수어 교수 불안감 특성 분석
- 수어문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참여 경험과 개선 요구
- 일본 시청각장애인 현황과 지원 실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4 Contents
- 马克思“世界文学”思想:生成审思、意涵揭橥与启示探赜
- 毛泽东建构中国共产党形象的核心要义、历史经验及现实启示——重读《〈共产党人〉发刊词》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