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eventh-day Adventist Historiography: Development and Progress
이용수 2
- 영문명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Masfa Gabriel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신학과학문 제27집, 88~136쪽, 전체 4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8,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chart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dventist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us reflects on how Adventist historians describe the past. It describes three major trends within the development of Seventh-day Adventist historiography. First, the writing of history began as an extension of an interest in Bible prophecy and a conviction about God s providential leading in the rise of Adventism. Second, Adventist history remained important in order to do successful apologetics. Third, more critical methods were gradually incorporated that challenged traditional narratives of Adventist history. This study recommends that more work needs to be done on the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 memory versus collective memory in the shaping of Adventist ident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History as Faith Commitment: Theological Approach
Ⅲ. History as Apologetics: A Survey of Adventist Approaches
Ⅳ. The Development of Critical Approaches to Adventist History and Their Various Responses
Ⅴ.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Unnamed Mother of Samson: Authorial Reading
- The Legacy of Martin Luther’s Sola Scriptura
- 기독교 교회건축의 기원에 대한 고찰
- 리처드 커니의 재신론적 신앙에 관한 비판적 고찰
- Seventh-day Adventist Historiography: Development and Progress
- An Evaluation of Jack Sequeira s “Actual” Substitutioinary Death of Christ
- 건축가의 눈으로 본 공관복음서의 건축모티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