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 남성의 자기분화와 체면민감성 및 가족의사소통의 관계
이용수 563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of Middle-aged Men’s Self-differentiation and Chemyon (Face) Sensitivity with Family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최은진(Eun Jin Choi) 정혜정(Hye Jeong Chung)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8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자기분화와 체면민감성 및 가족의사소통의 관계를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라남․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40~59세의 중년남성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년 남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의사소통의 차이검증 결과, 가족의사소통은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가족의사소통과 자기분화, 체면민감성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 남성의 가족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인 종교와 자기분화, 체면민감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자기분화와 체면민감성 및 가족의사소통의 관계를 알아보고 가족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중년 남성의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한 삶을 지지하고 가족치료 및 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그에 필요한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men’s self-differentiation, chemyon (face) sensitivity, and family communication. Methods: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269 men aged 40 to 59.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middle-aged men’s basic characteristics indicates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ir respective religions.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self-differentiation, and chemyon (face) sensitivity.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vestigating factors that affect middle-aged men’s family communication shows that it is heavily related to religion (one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self-differentiation, and chemyon (face) sensitivity.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not only support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healthy lifestyle for middle-aged men, but also function as the basic data for family therapy and family counseling, as required for arranging their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