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이용수 218
- 영문명
-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with application of CIPP Evalu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신연주(Shin Yeon-ju) 김선태(Kim Sun-tae) 송해덕(Song Hae-deok)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37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CIPP 평가모형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적 국면에 따라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질관리 및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하여 특성화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타당화하기 위하여 특성화고 취업담당 교사 및 교육관련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델파이 설문 자료 결과를 통해 내용 타당도인 CVR 값과 합의도, 수렴도를 통해 의견 일치 정도를 분석하였고, 수정ㆍ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평가준거 및 평가지표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평가준거는 총 7개로 요구분석, 목표설정, 실행계획, 수행내용, 프로그램 활동, 프로그램 관리 및 평가, 프로그램 성과이고, 평가준거 별 평가지표는 총 41개로 구성되었다. 최종 확정된 평가지표는 특성화고 현장에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활용됨으로써 특성화고의 취업역량강화 활동의 질적 향상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which can help decision making in the quality control and improvement of the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put, process and output of CIPP evaluation model. For this purpos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of expert opinions,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was designed. In addition, the Delphi research was conducted to 15 teachers in charge of job searching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education related experts to validate it. The CVR value which indicates the value of validity was analyzed through the findings of the collected Delphi questionnaires and the degree of opinion consistency was analyzed through the degrees of agreement and convergence. Through the correction and complementation, the final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indicators was decided. The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from the findings include 7 references such as requirement analysis, objective setting, implementation plan, implementation contents, program activities, program control & evaluation and program performance. Each Criteria has 41 evaluation indicators. It is expected that the finally decided evaluation indicators would be used by the people concerned with the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and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job capability strengthening program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as well as its future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