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저절효과
이용수 6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taff Nurse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김정희(Kim Jeong-Hee) 현미열(Hyun Mi Yeul)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14권 제2호, 108~11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paper was attempted to focused on the analysi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Method: Data collected from 302 staff nurses in 2 general hospitals, wit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olfgang s HPSI, modified Hagihara s social support, and MSQ).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 s alpha, Pearson correlation, ANOVA,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 The subjec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st level of the work and patients conditions . The perceived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pervisor and co-workers support, and job satisfactions. Also supervisor and coworkers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s. The main factor that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s was work and patient conditions and it was explained 35.5%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job satisfactions with the work load and disturbing factor ,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s support . Supervisor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and career development factor and satisfaction. Conclusion: For developing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hospital nurses, the work and patients conditions , and the strategies of strengthening supervisor and co-workers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it may be conside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other criterion variable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V.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