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술실의 소음차단이 산부인과 복강경 수술 환자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
- 영문명
- Effects of Noise Block on Anxiety and Vital Sign of Patients with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in Operating Room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최미선(Choi, Mi Son) 이은자(Lee, Eun Ja)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21권 제3호, 317~32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oise block on anxiety and vital sign of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May 2011. Participants were sixty patients with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divided into 30 of experimental group and 30 of control group at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I city. The day before surgery, demographic data, trait-state anxiety and vital signs were measured at ward. After noise block, the data were measured using VAS anxiety and vital signs before anesthesia and in recovery room. And then state anxiety and vital signs were measured in ward after surgery. The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d ANOVA and Bonferroni comparison method using SPSS/WIN 19.0. Results: After conducting noise block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tate anxiety and heart rate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S anxiety, systolic pressure and diastolic pressur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is program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anxiety with gynecologic laparoscopic surgery.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자아효능감, 간호조직문화 및 감정노동
- 노인장기요양인정조사원의 사기에 관한 경로분석
- 중년 직장 남성의 갱년기 증상에 따른 우울과 건강증진행위
- 간호사 확보에 따른 노인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병원감염관리 인지도 및 실천도
- 노인병원 간병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 예측요인
- 건강관리사 계속교육이 사례관리자의 지식, 태도, 기술에 미치는 효과
- 간호사의 에이즈와 만성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간호의도
- 병원간호사의 내부마케팅 인식, 임파워먼트,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간호사의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공무원의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 및 대사증후군에 따른 의료비 지출
- 간호관리자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간호사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병원간호사의 간호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화학제품 제조업 보건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
- 시간제 근무를 하는 정신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수술실의 소음차단이 산부인과 복강경 수술 환자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Factors influencing Handgrip Streng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면역항암제 치료 중인 암환자의 지지적 간호 요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