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보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이용수 30
- 영문명
- Impa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Early Stage of their Careers: Focusing on Job Stres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정자용(Jeoung, Ja Yong) 김철규(Kim, Chul-Gyu)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27권 제1호, 36~4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early stage of their care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36 early stage nurses from two general hospitals and one tertiary hospital in Chungbuk province. An early stage nurse was defined as the nurse with a work experience of 3 to 36 month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ann-Whitney U test, Pe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t was seen that turnover inten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y (r=-.20, p=.020)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56, p<.001). Job stress due to work over load, inadequate compens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length of clinical career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p<.05). These variables explained for 50.4% of the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mprovement program to decrease turnover intention among early stage nurses by helping them to successfully adapt to their job. Moreover, it is important to bring about continuous improvements in terms of provision of adequate workload and appropriate rewards, and creation of a suitable work environment to reduce the job stress of early stage nurse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