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수업에서 청소년들의 비판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의사결정능력의 차이
이용수 38
- 영문명
- The differences in adolescents decision mak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of Home Economics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희(Kim Seong-Hee) 장윤옥(Jang Yoon-O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1호, 133~1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 생활’ 단원의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수업에 있어 비판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의사결정능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 K여고 147명의 학생들로 2개 학급 학생들에게는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고, 3개 학급 학생들에게는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을 4주간에 걸쳐 학급별로 총 8차시의 실험수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이원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수업을 받은 청소년이 전통적 강의식 가정과수업을 받은 청소년보다 대안단계와 가치단계에서의 의사결정능력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력 수준이 높은 청소년이 낮은 청소년보다 평가단계의 의사결정능력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판적 사고력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강의식 수업이 평가단계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나 비판적 사고력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이 평가 단계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in adolescents decision mak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in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of Home Economic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re 147 students from K girl s high school in Daegu.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ormer wa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of Home Economics. The later was the control group, which took the typical lecture-based instruction. Factor analysis, Cronbach α, correlation, and two-way ANCOVA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eps of problem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of the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teaching methods and the level of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Second, the adolescents who took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had shown more improvement in the steps of alternatives consideration and value of the decision making ability than those who took the typical instruction.
Third, the adolescents with the high level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have made much more improvement than those with the low. And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adolescents with the low level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hose who took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have made much more improvement than the others who took the typical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dolescents with the high level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hose who took the typical instruction improved much more than the others who took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및 가정과교육의 철학적 · 사회적 배경 고찰과 미래 방향 탐색
- 실천적 추론 가정과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교과 인식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 중 가정 영역의 실험 실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
-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기술 · 가정 나와 가족관계’ 단원에 대한 중학생의 긍정적 인식, 실천성 인식과 가족건강성
- 장애체험활동을 통한 학교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 포트폴리오 자료 개발 및 수업 효과 분석 - 중학교 기술 · 가정과 「반바지 만들기」 단원을 중심으로 -
-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수업에서 청소년들의 비판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의사결정능력의 차이
- 여대생의 화장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실과, 기술 · 가정, 가정 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연계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