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대생의 화장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2
- 영문명
- The Effect of Make-up attitude,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n Clothing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실(Chung Mi-Sil)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1호, 35~4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화장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와 의복행동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여대생 35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화장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자신감 추구, 심미성 추구, 사회성 추구, 매력성 추구, 유행성 추구의 5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이 설명한 총 변량은 59%였다. 둘째, 화장태도의 5가지 요인과 4가지 의복행동(심미성, 과시성, 성적매력, 심리적 의존성)간에는 모두 유의적인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의복의 과시성과, 신체만족도는 의복의 성적매력과 유의적인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의복의 성적매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자아존중감과 화장태도의 3가지 요인(심미성 추구, 매력성 추구, 유행성 추구)이었고, 의복의 심미성과 심리적 의존성에 영향을 미친 것은 모두 화장태도의 4가지 요인(자신감 추구, 심미성 추구, 사회성 추구, 유행성 추구)이었으며, 의복의 과시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자아존중감과 화장태도의 2가지 요인(자신감 추구, 심미성 추구)이었다. 넷째,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의복의 과시성과 성적매력이 높았으며,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의복의 성적매력이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ke-up attitude,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n clothing behavi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56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ive factors of make-up attitude were identified: pursuit of confidence, aesthetics, sociality, fashion and attractiveness.
2) Five factors of make-up attitude had positive correlation related to clothing behavior i. e. aesthetics, exhibition, dependence and sexual attractiveness.
3) The aesthetics and dependence of clothing were influenced by pursuit of confidence, aesthetics, sociality and fashion. The exhibition of clothing was influenced by pursuit of confidence, pursuit of aesthetics and self-esteem. The sexual attractiveness of clothing was influenced by self-esteem, pursuit of aesthetics, attractiveness and fashion.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high self-esteem and low self-esteem on aesthetics and sexual attractiveness of clothing.
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high body satisfaction and low body satisfaction on sexual attractiveness of cloth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과 및 가정과교육의 철학적 · 사회적 배경 고찰과 미래 방향 탐색
- 실천적 추론 가정과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교과 인식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 중 가정 영역의 실험 실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
-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기술 · 가정 나와 가족관계’ 단원에 대한 중학생의 긍정적 인식, 실천성 인식과 가족건강성
- 장애체험활동을 통한 학교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 포트폴리오 자료 개발 및 수업 효과 분석 - 중학교 기술 · 가정과 「반바지 만들기」 단원을 중심으로 -
-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수업에서 청소년들의 비판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의사결정능력의 차이
- 여대생의 화장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실과, 기술 · 가정, 가정 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연계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