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수용,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08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Psychological Acceptance,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olescence
발행기관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저자명
전영미(Young Mi, Jeon) 고현미(Hyun Mi, Ko)
간행물 정보
『교류분석상담연구』제9권 제2호, 123~14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수용,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과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수용,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수용은 의도적 반추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상 후 성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의도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의는 첫째, 국내에서는 중학생들이 포함된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학령기의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외상 후 성장 요인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수용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인데, 청소년의 외상의 성장요인에 대한 자아탄력성이 의도적 반추와 심리적 수용과의 구조적인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상담 및 심리 치료에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psychological acceptance,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olescence. For this purpose, a survey regarding trauma was conducted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sili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acceptance,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accep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liberate rumination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Deliberate rumin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resilience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dium of deliberate rumin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first, it has provided empirical data as to the factors for posttraumatic growth of school-aged adolescents, such 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ile little research on posttraumatic growth has covered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it has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and deliberate ruminat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in terms of the factors for posttraumatic growth in adolescence and made suggestions for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whil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미(Young Mi, Jeon),고현미(Hyun Mi, Ko). (2019).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수용,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간의 구조적 관계. 교류분석상담연구, 9 (2), 123-141

MLA

전영미(Young Mi, Jeon),고현미(Hyun Mi, Ko).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수용,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간의 구조적 관계." 교류분석상담연구, 9.2(2019): 123-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