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TA자기-재양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용수  54

영문명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A Self-Reparenting Program to Enhance the Day Care Teachers Efficacy
발행기관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저자명
박지윤(Ji Yun, Park) 이영호(Young Ho, Lee)
간행물 정보
『교류분석상담연구』제9권 제2호, 27~5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아동학대 문제가 사회문제가 되는 시점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보육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개입을 통해 보육교사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의 모형과 개발과정은 Rothman과 Thomas(1994)의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 방법인 사회복지 실천 현장의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 5단계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보육교사 11명에게 실시하였다. 또한, 무처치 비교집단 11명과 비교하여 개입 효과를 검증하였다. 집단 참여자들은 8회기로 구성된 1박 2일의 집중형 집단상담을 처치하였다. 효과성 측정도구로는 보육교사효능감 척도가 활용되었으며, 각 집단에서 보육교사효능감 측정치를 프로그램 사전, 사후 및 1개월 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TA자기-재양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효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서는 TA자기-재양육프로그램이 사회복지적 활용에 대한 기여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program that incorporates scientific research methods of intervention study from problem identification to assessment an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e absence of the TA self-reparenting program to enhance the day care teachers efficac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of Rothman and Thomas (1994), a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model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site, was used. The 5 stages of program development model consisted of program planning and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tegration, design, field experiment, and the final program development stag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eleven day care teachers.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was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of eleven who received no treatment. The group participants went through the treatment of intensive group counseling, which consisted of eight sessions, each of which lasted for two days and one night. Day Care Teacher Efficacy Index was adapt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day care teacher efficiency was collected from each group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as well as one month after the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A self-reparent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contribution of TA self-reparenting program to its application in social welfare,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TA자기-재양육 프로그램의 개발
Ⅳ. TA자기-재양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윤(Ji Yun, Park),이영호(Young Ho, Lee). (2019).보육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TA자기-재양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교류분석상담연구, 9 (2), 27-50

MLA

박지윤(Ji Yun, Park),이영호(Young Ho, Lee). "보육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TA자기-재양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교류분석상담연구, 9.2(2019): 2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