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정된 체육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학생의 개인적・사회적 책임감 변화
이용수 171
- 영문명
- Elementary Schoolers’ Changes in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Modifi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이진형(Lee, Jin-Hyeong) 이재용(Lee, Jae-Y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5권 제2호, 33~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책임감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수정된 체육 프로그램은 공을 발로 다루는 드리블, 패스, 슈팅, 펀트, 축구게임 전략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학습 단서를 선정하여 개인적·사회적 책임감 모형(TPSR)을 적용한 22차시의 체육수업으로 구성하였다. 수정된 체육 프로그램에 소규모 학교 4학년 학급 전체인 9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지속적 비교법(Glaser & Strauss, 1967; Strauss & Corbin, 1998)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료 참고인 선정, 참여자 확인 및 삼각검증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중심 현상으로 ‘달라진 모습 보이기’, 맥락적 조건으로 ‘벽지 학교 체육수업 문화’, 인과적 조건으로 ‘나의 책임감 수준 알기’, 중재적 조건으로 ‘이전 교육과 개인적 배경’,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책임감 수준 개선 노력’, 그리고 이러한 결과로 “책임감 수준의 향상”이라는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와 학생간의 건강한 연결과 교사들의 집단적인 헌신으로 준비된 다양한 수업 설정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이를 위해 교사들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것과 장기간에 걸친 TPSR 수업 실행을 위한 모형 간 통합에 대해 연구할 교사 공동체를 조직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ers’ changes in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modifi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22 modified soccer games using TPSR model. The participants were a whole class of nine 4th graders in Riverside Elementary School.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Glaser & Strauss, 1967; Strauss & Corbin, 1998)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o increase the trustworthiness of data, peer debriefing, member checks, and triangulation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ain phenomenon was displaying changes in responsibility’, and the causal condition was knowing my responsibility level . Intervention condition was educational and personal background and contextual condition was culture of rural and remote school and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efforts of improving responsibility level.’ The consequences was ‘improvement in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bout the results were mad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자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자신의 책임감 수준 알기
2. 달라진 모습 보이기
3. 책임감 수준 개선 노력
4. 책임감 수준의 향상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