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녀를 돌보는 여성의 삶과 지역 육아·돌봄 정책 사이의 간극에 대한 맥락-패턴 질적 연구
이용수 342
- 영문명
- A Contextual Pattern Qualitative Study on the Gap between the Life for Women who Taking Care of Children and the Local Child Care Policy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심임숙(Sim, Im Suk) 이상아(Lee, Sang A)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0권 제2호, 37~7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를 돌보는 여성의 삶과 지역사회 육아·돌봄 정책의 간극을 파악하여 ‘여성의 삶의 문제’ 해결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이 중단된 경험이 있거나 이를 고려중인 경기도 거주 여성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로 맥락-패턴 분석을 하였다. 현재 육아의 삶에 놓여 진여성들을 대상으로 돌봄 삶의 모습은 어떠한지? 그리고 미 충족된 욕구와 정책간의 간극은 무엇인가? 두 가지 큰 물음에서 출발하여, 객관적 현상과 주관적 경험을 통해 복합적 맥락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통합분석의 주요현상은 ‘통합(여성·자녀)돌봄 공백’ 이며, 경험은 ‘내몰리는 현실’ 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요인과 간접요인을 긍정·부정적 방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녀를 돌보는 여성의 삶과 정책의 5개 간극, 육아서비스욕구와 정책과의 4개 간극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삶의 욕구와 정책의 간극을해소할 수 있는 지역차원의 돌봄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ap between the lives of mothers(women) and the local child care poli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women in Gyeonggi do who have experienced or are considering beginning their careers. In this study, we conducted context-pattern analyses after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was founded on two big questions: what is the life of a woman caring for a child? And what is the gap between unmet needs and policies? And we analyzed the complex context through objective phenomenon and subjective experiences.
The main phenomenon identified through integrated analysis is the absence of care and their experience is the pressed life . Based on this, we found five gaps between the relevant policies and the lives of women caring for children, and four gaps between the need for child care services and relevant polic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ncrete care policy at the local level to resolve the gap between the needs of women and the policy. This study suggested local child care policies focusing on women s lives and child care services that reduce the gap.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