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 Settings for Students with Mentally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박석돈(Park Suk Don) 안은경(Ahn Eun Kyoung)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14권 제2호, 197~22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특수학교 직업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일은 우리 나라 특수교육의 개선을 위해 매우 중요하고 의의있는 일이며, 직업담당교시의 직무만족 여부는 장차 우리 나라 특수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이 성패를 좌우할 만큼 커다란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시의 직무만족도를 조시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들 간의 상호 관계를 구명하고, 이를 통하여 교사의 직무생활의 질과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정신 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학교 설립별에 따른 6가지 영역의 직무만족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교직 경력 및 직위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며 셋째, 직업교육 전공 여부와 직무만족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등 이상의 직업교육이 개설된 64개교의 직업담당교시 121명을 대상으로 6개 직무만족 영역의 36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내용으로 하여 분석 통계 처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설립별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교육과정 운영과 지역시회와의 관계 2가지 영역에서 시립교시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교직 경력에 따라서는 교직 태도, 보수 2가지 영역에서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와 2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직위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행정적 지원, 교직 태도,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의 4가지 영역에서 평교사 보다 부장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간제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전 영역에 걸쳐 좀더 높았다.
셋째, 전공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직업교육을 전공한 교사들이 비전공교사들보다 행정적 지원. 교시간의 관계,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의 영역에서 높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according to the school establishment(private school, public school). teaching profession career. ranks and qualified vocational education.
121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s. The questionaries consist of 6 job satisfaction areas and have 36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job satisfaction by school establishment is department in 2 areas of curriculum. relations with community private school teachers was high than public school teachers.
Seco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ing profession career. in 2 areas of teaching profession attitude. compensation system teachers who have career fewer than 5 years and more than 21 years was higher.
Also. job satisfaction by rank(position) was higher head of a department teachers more than common teachers in 4° areas of administrative assistance system. teaching profession attitude. curriculum. relations with community.
Third. teachers who job satisfaction by qualified vocational education teacher were higher in 4 areas of administrative assistance system. relation among teachers. curriculum. relations with community than nonqualified vocational education teacher.
Professionalism may have to be refurbished in reply so that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more injections may be achieved for development of essential vocational education for perfect social rehabilitation of disabled person ultimately. To do. long-term political care may have to follow.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득보장제도의 장애인 직업재활프로그램 운영 방안
- 청각장애 근로자의 인사관리자의 직업 적응에 관한 인식 연구
- 특수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실태 분석과 지원체제 구축 방안
- 장애인 다수고용 사업장 표준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정책네트워크 관점
- 통합고용 환경에서 정신지체 근로자에 대한 동료 근로자의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 분석
- 기능적 제한 관점에서의 직업재활
-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평가: 문제와 개선 방안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의 산업체 현장실습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