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고용 환경에서 정신지체 근로자에 대한 동료 근로자의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 분석
이용수 71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type and frequency of natural supports provided by co-workers for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inclusive workplace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김계현(Kim Kye Hyun) 박승희(Park Seunghee)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14권 제2호, 57~8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통합고용 환경에서 정신지체 근로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동료 근로자의 자연적 지원(natural supports)을 지원의 주요한 자원으로 강조하였으며, 동료 근로자가 정신지체 근로자에게 제공한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정신지체 근로자의 통합고용 상황에서 동료 근로자가 제공한 자연적 지원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처음의 연구로서 자연적 지원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고용 정책과 후속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문헌 연구와 면담을 근거로 본 연구자들에 의해 제작된 설문지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여 설문지 응답을 요인 분석하였으며,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도)의 사업체 중에서 정신지체 근로자와 함께 근무하고 있는 동료 근로자 240명을 대상으로 자연적 지원 제공 현황을 조사하였다. 동료 근로자가 제공한 자연적 지원은 요인분석 결과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1)개인적 지원 ; (2)직업적 지원 ; (3)사회적 지원으로 명명하였다. 동료 근로자가 제공한 각각의 지원의 빈도 우선순위는 직업적 지원, 사회적 지원, 개인적 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 빈도는 동료 근로자의 재직기간, 업종, 직무부서와 직무 유형에 따라 영역별, 문항별로, 또한 정신지체 근로자의 장애 정도와 재직기간에 따라 문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ture of natural supports in inclusive workplaces by means of analyzing the types and frequency of natural supports provided by co-workers for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Reponses of the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ere collected from 240 co-workers in firms that across in Seoul and capital zone(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study are following. (1)There were three factors of natural supports provided by co-workers; personal care supports. job/task supports. and social supports, The rank of frequency of each sub-category of natural supports was followed; job/task supports. social supports. and personal care supports respectively. (2)The frequency of support provision by co-work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ngth of work-term in job/task supports and social supports sub-categories ; The longer work term. the more supports. In term of the support frequency related to the co-worker s work department and the types of job task. the more job/task supports were provided to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when they were in the same department with co-workers and the types of job task are same. Interestingly enough. the people who work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provide more supports in personal care supports. job/task supports. and social support than food industry. (3)As far as the frequency of natural supports concern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ntal retardation and the work-term of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in between sub-categories. but not within a category. The milder the level of mental retardation and the longer work term of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more suppor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자연적 지원의 배경과 정의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득보장제도의 장애인 직업재활프로그램 운영 방안
- 청각장애 근로자의 인사관리자의 직업 적응에 관한 인식 연구
- 특수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실태 분석과 지원체제 구축 방안
- 장애인 다수고용 사업장 표준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정책네트워크 관점
- 통합고용 환경에서 정신지체 근로자에 대한 동료 근로자의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 분석
- 기능적 제한 관점에서의 직업재활
-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평가: 문제와 개선 방안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의 산업체 현장실습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