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의 산업체 현장실습에 관한 연구
이용수 42
- 영문명
- A Study on Industry Field Training for Special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이상훈(Sang-hoon Lee) 허석(Seok Heoh)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14권 제2호, 169~19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산업체 현장실습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현장 실습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국 66개 정신지체 특수학교 실습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현장실습은 대체로 고등부 3학년의 경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평균 1회 정도 취업 전 단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실습 협력업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개발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습생들의 직무는 조립ㆍ포장의 단순반복 업무가 주를 이루고, 현장지도는 주로 복지관이나 공단의 직무지도원, 업체의 실습생 담당자가 맡고 있다. 현장실습 담당교사와 실습 관련 인사들과의 관계는 대부분 협조적이었으나 법 동료의 협조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고, 학교의 현장실습에 대한 지원은 대체로 적극적이었다.
산업체 현장실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목적과 실습 시기에 따라 운영 형태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등부 3학년 이전부터 2~3회 이상 실습경힘을 하도록 강화할 필요가 있다. 실습업체 개발이나 현장지도는 상호 협력을 통한 역할 분담이 요구된다. 현장실습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실습업체 개발이 중요하며, 업체 측과 다각적인 면에서 의견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 내부에서는 학교잠의 현장실습에 대한 의지 및 학부모들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고, 학교 외부에서는 지역내 사업체와 직업재활 관련 기관과의 체계적인 협조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ality of industry field training conducted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the system of industry field training. Selected teachers who take charge of industry field training of 66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replied to questionnaires and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by frequency distribution and percentil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enerally students with mild and moderate degrees of mental retardation have opportunities to receive field training in third grade of high school. The opportunity is given to them usually once as a preliminary stage before getting a job in general. The special teachers are trying to find industrial enterprises that will offer field training to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and the Rehabilitation Center or by participating in job opening for the mentally retarded. but it is not easy to establish partner relationship with enterprises for field training of students. People related with field training, such as instruct teachers. parents, or employer tend to cooperate well with special teacher. but colleagues at work place tend to be reluctant to work. However. the efforts of special schools to support field-training programs are very active.
To activate industry field training, it will be more desirable to vary systems of field training, depending on purposes and the period of with each other by sharing in the duty.
training instead of focusing on only employment. For this,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training opportunities so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start field training before the third grade at high school and have opportunities more than twice or three times. In addition, it is more effective for people who are related to field-training programs to help each other rather than to make special teachers or agency supervisor take charge of all the dutie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to be achiev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field training is to establish relations with various industrial enterprises. Special schools are also required to exchange opinion and information with industrial enterprises involved as much as possible. Principals of special schools are bound to have a strong will to improve industry field training system and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hould be concerned with and support it. Industrial enterprises in community and organizations involved in vocational rehabilitation(VR) services should cooperat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득보장제도의 장애인 직업재활프로그램 운영 방안
- 청각장애 근로자의 인사관리자의 직업 적응에 관한 인식 연구
- 특수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실태 분석과 지원체제 구축 방안
- 장애인 다수고용 사업장 표준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정책네트워크 관점
- 통합고용 환경에서 정신지체 근로자에 대한 동료 근로자의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 분석
- 기능적 제한 관점에서의 직업재활
-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평가: 문제와 개선 방안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의 산업체 현장실습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