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술교과에서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 개발
이용수 39
- 영문명
-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Hands-on Making Activity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s in Technology Subject - Focused on the music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임미가(Mi-Ka Lim) 최준섭(Jun-Seop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2권 제1호, 234~254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흥미도와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개발한 수업모형의 적용으로써, 학습자의 강점지능으로 선별된 음악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은 준비, 실행, 평가의 세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 단계는 수업을 하기 위한 준비의 과정이다. 교사는 다중지능 별 학습센터를 개설하고 다중지능 수업전략을 선정한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다중지능 활용수업을 안내하고 다중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강점지능 별로 학습자를 분류한다.
실행 단계는 실제로 수업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만들기 체험활동 수업은 학습목표 확인, 기능 및 절차 숙지, 목적 설정 및 계획, 실행, 평가의 절차로 진행되며 각 단계마다 다중지능 수업 전략이 적용 된다.
평가 단계는 앞서 실시한 다중지능 활용 수업에 대한 평가의 단계로써 교사와 학습자가 수업의 내용과 과정 등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아 탐색?보완한다.
둘째, 음악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은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에 음악지능 활용 수업전략을 적용한 것이다.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 단계에서는 음악지능 학습센터를 개설하고 음악지능을 활용한 수업전략을 선정한다. 그리고 다중지능을 활용한 수업에 대해 학습자에게 안내하고 다중지능 검사를 통하여 음악지능을 강점지능으로 가지는 학습자를 선별한다.
실행 단계에서는 수업의 각 절차에 음악지능을 활용한 수업전략을 적용하였다. 이때의 수업전략은 음악을 활용한 모둠활동, 간단한 악기 만들기, 배경음악 제공하기, 모둠노래 만들기, 학습자 제작 동영상(UCC)으로 발표하기 등이 있다.
평가 단계에서는 교사와 학습자가 앞서 실시한 음악지능 활용 수업전체의 내용과 과정 등을 평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 with hands-on making activity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learners. As an application of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an instructional model is constructed with hands-on making activity with application of musical intelligence of learners, which is selected as strength of learners’ intelligences. Result of study is as following :
Instructional model with hands-on making activity by utilizing musical intelligence is to apply musical intelligence in the classroom strategy into instructional model with hands-on making activity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 following is details of each phase:
Preparation phase is to open musical intelligence learning centers and select classroom strategy by utilizing musical intelligence. Then learners are guided how to apply multiple-intelligences in the class. Then learners with musical intelligence are selec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multiple-intelligences. In execution phase, classroom strategy is applied by utilizing musical intelligence in each step of classroom activity. Classroom strategies included group activity, simple making of musical instruments, providing background music, making group song, presentation with UCC, etc. Evaluation phase consists of assessing contents and process of overall class that has previously performed by teachers and learners together with application of musical intelligenc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장 실습이 특성화 고교생의 취업 진로 결정에 미치는 요인 연구
- 통합적 STEM 교육이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과 일본 중학생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비교
- 기술교과 설계 학습 활동에서 팀 기반 학습이 학업 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과 MBTI 성격 유형 간의 관계 분석 연구
- 기술·가정 교과서 내적·외적 체제 선정 영향 요인
-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 내용 표준 개발
- 발명능력 지표 개발
- 기술교육에서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 프로그램 개발
- 오토마타(automata) 만들기를 통한 STEAM 통합 기반의 창의 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전기회로 문제해결에서 전문가와 초보자의 사고 과정 분석
-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의 현장 적용 사례 연구
- 기술교과에서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