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우울 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DAPR) 반응특성 연구
이용수 366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DAPR (Draw A Person in the Rain) drawing assess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유진(Kim You-Jin) 유경미(Yoo Kyung-Mi)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6권 제5호, 951~96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과 빗속의 사람 그림(DAPR; Draw a Person in the Rain)에서 나타난 스트레스, 대처자원, 대처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우울 수준에 따른 DAPR의 반응특성 차이 및 집단 간 예측의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대학생 150명을 군집표집하였고, Beck의 우울척도(BDI;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기준으로 우울 집단 25명, 비우울 집단 25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의 상관계수, 독립표본 t검증,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우울과 DAPR의 스트레스 척도는 정적상관, 우울과 DAPR의 대처자원 및 대처능력 척도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우울 집단이 비우울 집단보다 DAPR의 스트레스 채점항목 ‘많은 비, 비의 접촉, 젖다, 바람, 웅덩이, 웅덩이에 서 있음’에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울 집단이 비우울 집단보다 DAPR의 대처자원 채점항목인 ‘보호물이 있음, 우산 있음, 들고 있는 우산, 적절한 크기의 보호물, 완전한 보호물, 얼굴 전체가 보임, 얼굴의 미소, 중심에 있는 인물, 전체인물, 선의 질’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간에 ‘많은 비’, ‘들고 있는 우산’, ‘얼굴의 미소’, ‘비의 접촉’ 4개 채점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96.0%의 예측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DAPR은 미술치료 현장에서 대학생 우울의 정보를 제공하는 투사그림검사로써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APR(Draw A Person in the Rain) and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reaction to DAPR and its predictive abil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depression. For this study, 150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were chosen for cluster sampling, with 25 representing the depression group and 25 depicting the non-depression group according to Beck s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discriminating analysis. Depression and DAPR stress scor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depression DAPR coping resources scoring and DAPR coping ability scor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he dep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non-depression group in the “excess rain, rain touching, gets wet, wind, puddle(s) and standing in puddle(s)” item selections within the stress category. Furthermore, the dep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compared to the non-depression group in “protection present, umbrella present, umbrella held, protective gear of proper size, perfect protection, full face shown, smile on the face, a person in the center, the full appearance of the person, and the line quality” item selection within the coping resource category. Also, 4 scoring items, “Pouring rain”, “Holding umbrella,” “Smiling face,” and “Rain contact,” illu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4 scoring items, with a prediction accuracy of 96.0%. Therefore, DAPR is expected to be useful as a projective tes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화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 공감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문인화 작품에 담긴 치유적 의미에 관한 고찰
-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자기이해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우울 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DAPR) 반응특성 연구
- 미술치료사 발달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 국내 학위 논문과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
- 현실치료를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내외 통제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