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82
- 영문명
-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and Adjustment during School Life of Children in Culturally Diverse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진윤달(Jin Yoon-Dal) 김형빈(Kim Hyung-Bin) 이은주(Lee Eun-Joo)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6권 제5호, 925~9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A시에 소재한 T초등학교 돌봄 교실에 다니는 1, 2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을 10명 선정하여 각각 5명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고 2016년 1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주 2회 90분씩 총 2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집단미술치료의 명료성을 위해 양적 분석인 자아효능감검사와 학교생활적응검사로 객관화하였으며, 질적 분석은 동적학교생활화(KSD)검사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효능감에 미친 영향은 자아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 과제난이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자아조절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교생활적응검사는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영역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지만 학교규칙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KSD그림검사의 사전검사에서는 교사, 교우관계, 학교수업에서 인물상이 작고 막대 그림을 그렸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자아상이 커지고 친구와 교사가 상호작용하는 대인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earch selected 10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1st and 2nd grades who attended the care classes of T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city. The children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with five children, with each group completing the programs 20 different 90 minutes, twice a week, from November 2016 to February 2017. The measuring tools were objectified by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elf-efficacy test and the school life adaptation test for clarity of group art therapy,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studied based on the dynamic school life drawing (KSD) test. Although results illustrated the influence of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self-efficacy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positive in self-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efficacy. Additionally, the school life adaptation test showed positive changes i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companionship, and school curriculum area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in the area of school rules. Moreover, the KSD s pre-examination showed small figures and a bar picture of teachers, classmates, and school classes, but the post-examination illustrated positiv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ere friends and teachers interact with each oth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화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 공감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문인화 작품에 담긴 치유적 의미에 관한 고찰
-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자기이해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우울 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DAPR) 반응특성 연구
- 미술치료사 발달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 국내 학위 논문과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
- 현실치료를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내외 통제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