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리스타 자격취득 프로그램 적용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45
- 영문명
-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rom Barista Qualification Program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저자명
- 금기돈(Keum Ki-Dong) 김형균(Kim Hyung-gyu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56권 제3호, 78~98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자격취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자격 취득과정 프로그램은 대전광역시의 10개 특성화고등학교 중에서 K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교육진행은 외부 교육기관에 위탁 실시하였으며 시행 교육기관과 협력하여 자격취득 프로그램을 수정·보완 하였다. 단순 기능습득 위주의 위탁 기관 프로그램을 이론적 진로교육과 타 직업과의 연계·확장, 기능습득, 현장실습으로 구분하여 교육 하도록 새롭게 고안하였다. 프로그램 통계처리는 SPSS2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유의 수준 p<.05에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은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고. 자격취득 후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이 높았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격증취득으로 전문성을 지닌 진로선택에 대한 자신감을
한 단계 이끌어 올린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바리스타 자격증취득 프로그램을 통해 검증하고자 했던 자격증취득 여부가 학생들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velop a certification program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on students’ self-efficacy for career determination. Certification program was performed by an external education institution and was amended based on discussion between performing entity and investigator.
The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each group contained 10 students.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took our certification program and students in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is program.
With the collected data. t-test was operated and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all direct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isplay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for self-efficacy of career determination, compared to one in the comparison group. After obtaining a certificate, they had higher confidence toward career determination.
Second,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got a certificate so that they leveled up their confidence of care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실과교과서의 체제 및 학습내용 요소 분석
-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무용수업 활성화 방안
- 핵심역량에 대한 공주교육대학교 구성원의 인식 조사
- 무도 전방회전낙법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 바리스타 자격취득 프로그램 적용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n the Reflective Teaching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 초등예비교사의 식물 학명 학습을 위한 교수 방안
- 미국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를 통해 본 수학 평가 문항 개발
- 통섭(統攝)적 관점에서 체육교육의 이해
- 초등영어 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요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