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적 인성 함양을 위한 음악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58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usic Program for Multicultural Personalite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미(Young-Mi Lee)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9권 제1호, 167~1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한국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중등학생 수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음악수업과 초등과 연계한 중등학교 음악수업에서 다양한 문화와 음악을 융합하여 다문화적 인성함양에 타당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음악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음악프로그램은 베넷의 다문화 교육과정에 따른 다문화적 인성 함양 과정에 따라 여러 나라 다양한 문화의 놀이 노래·악기체험과 음악 감상·생활과 음악 그리고 신화나 민화 또는 전래동화와 같은 스토리텔링·문명과 문화 활동을 프로그램내용으로 융합하여 초등과 초등에 연계된 중등 음악수업주제와 내용을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에 음악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일반학교 초 중학생들이 타문화에 스스로 들어가고자 하는 동기가 모둠활동으로 발표하고 토론하는 문제해결과정에서 타문화에 대한 거부감이나 문화적 이질감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에 대한 수용이 가능한 통합적 인식을 할 수 있는 다문화적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South Korea is now experiencing a rapid transition to a multicultural education to lead normal students as well as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build tolerant and inclusive attitudes toward one another in elemental school and middle school. There has been some research into efforts to develop and apply music program to music classes, and some have proven to be very effective: nonetheless, schools are still in need of proven music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multicultural personalities based on Christine Bennett s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et an agenda for the content of the music program and its effect on the multicultural personalities of childre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re specific music program would target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ge groups for multicultural personalities. This multicultural cognitive capacity, behavioral effect and integrated perception would be realized through the emotional experience of the music of various countries, by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problem-solving activities such as singing, the playing of musical instruments, and composition through story-telling activities; and by listening to the music of the differing cultures. A follow-up study to develop a model of specific music program would target specific age groups; it could be deployed over a long term to help children grow up as multicultural lead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다문화적 인성 함양을 위한 음악프로그램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탑파 문화재의 지식 구조와 교육 방안 - 문화재 교육의 이론화 시론 -
- 유아교육연구에서의 의례적 접근 : 주제와 관점
- 다문화적 인성 함양을 위한 음악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삶 속의 실천을 위한 예술 활동 탐색 - 예술 활동의 의미, 실천 방법 및 유형 -
- 미술감상교육에서의 저작권 활용방안 연구 - 미술작품의 공정이용(Fair use)을 중심으로 -
- 영상문화교육을 위한 국내 미디어센터 운영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직업능력개발에서의 상호문화역량 강화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이주배경 청소년 동향을 중심으로
- 5세 유아 해석공동체의 의미구성 과정 탐구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플라톤의 “비유”이야기 속의 인식론과 문화교육적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del for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 양상 연구 : 그래픽 노블과 그림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