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감상교육에서의 저작권 활용방안 연구 - 미술작품의 공정이용(Fair use)을 중심으로 -

이용수  225

영문명
A Study on Utilization Plans of Copyrights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 Focused on ‘Fair Use’ of Modern Art Works -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안현정(Hyun-Jung Ahn)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9권 제1호, 91~12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8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미술저작권의 ‘공정이용(Fair use)’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창작과 감상, 양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작권 분쟁에서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미술교육현장에서의 올바른 저작권 활용과 표절(복제)에 대한 윤리의식 함양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량복제로 야기된 이미지의 재생산은 현대의 삶을 시각중심문화로 변모시켰고, 모더니즘 미술이 주창했던 ‘독창적 자율성(엘리트미술)’은 이미지 복제와 차용미술이 일반화되면서 강력한 도전 앞에 놓이게 되었다.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호아래 출발한 차용된 이미지들은 ‘지적재산권 침해’라는 논란 속에서도 미술창작과 감상, 모두에게 그 정당성을 인정받고 있다. 현대미술에서의 이미지 복제는 차용(브랜드로고·초상이미지·명화의 재생산 등)의 범주를 넘어, 디지털시대의 미술감상교육에까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저작권 예외규정에 해당되는 공정이용에 대한 지식은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자유로운 디지털 시대 속에서 올바른 미술교육 함양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교육정보화의 급속한 진행과 창의력 함양이라는 사회적 요구는 미술교육 담당자들에게 다양한 저작물의 활용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많은 전문가들이 투입되어 미술교육에 적합한 저작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저작물이용자와 저작권자가 서로 협의를 통해 반드시 저작권의 실효성을 확보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minimize danger in copyright disputes which may arise in both sides of creation and appreciation by examining fair use of art copyrights, and to contribute to develop a sense of ethics regarding plagiarism (duplication) and right use of copyrights in the art education field. Reproduction of images caused by large quantity copy transformed modern life into visual-centered culture, and ‘creative autonomy (elite art)’ advocated by modernist art has been challenged considerably as image copy and appropriation art has entered into general use. Today, borrowed images started under the flag of postmodernism are acknowledged their legitimacy from both sides of art creation and appreciation in spite of controversy of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mage cloning in modern art is widely used even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beyond the category of borrowing (brand logo·portrait image·reproduction of famous paintings etc.). Therefore, knowledge of fair use corresponding to an exceptional provision of copyrights is essential to foster proper art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when free use of multimedia is allowed. Particularly, societal requirements of creativity cultivation and rapid progress of educational information require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art education to use a variety of works. For this it s necessary to spend lots of time and mobilize art experts to develop digital appreciation materials which are suitable for the 21th century. And for this it s essential to obtain the validity of copyrights through negotiations between users of created works and copyright holders.

목차

Ⅰ. 서론
Ⅱ. 미술저작권의 이론적 배경
Ⅲ. 미술작품의 ‘공정이용’ 기준 및 사례
Ⅳ. 미술감상교육에서 미술작품의 공정이용 활용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현정(Hyun-Jung Ahn). (2014).미술감상교육에서의 저작권 활용방안 연구 - 미술작품의 공정이용(Fair use)을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연구, 9 (1), 91-123

MLA

안현정(Hyun-Jung Ahn). "미술감상교육에서의 저작권 활용방안 연구 - 미술작품의 공정이용(Fair use)을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연구, 9.1(2014): 91-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