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능력개발에서의 상호문화역량 강화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이주배경 청소년 동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intercultural competence in occupation ability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trend of German migration-background youth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응희(Eung-Hee Park)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9권 제1호, 147~1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이주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담론도 확산되어 가고 있다. 현재 담론에서는 성인이주자들과 결혼이주자들의 직업관련 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내용적으로 제한적인 실정이다. 특히 이주배경을 가진 청소년들을 위한 다문화프로그램에서 직업관련 내용을 다루는 주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음으로 이주배경 청소년들이 가진 문화적 다양성을 강점으로 하여 직업능력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주배경 청소년들에게 상호문화역량 개발에 기초한 직업능력개발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상호문화역량은 개인의 문화에 기초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함께 일하며 반응해가는 것으로써 직업에서 적용될 수 있는 능력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주배경을 가진 청소년들의 직업능력개발 관련 독일 동향을 분석하여 한국에서 이주배경을 가진 청소년들의 상호문화역량 강화를 통한 직업능력향상 방안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독일의 이주배경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에서는 이주를 교육과정으로 연결하여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상호문화역량을 직업교육훈련과 노동시장에서 경쟁력으로 강화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In Korean society, not only discussion about multicultural society but also discourse on occupation ability development for people with migration background are spread. Current course actually focuses on occupation-related education of adult migrants and marriage immigrants and the contents are limited. Particularly, the subjects of occupation-related contents cannot form a great part in multicultural program for youths with migration background. It s necessary to improve occupation ability by taking cultural variety of migration-background youths as a strength. In this context, it s necessary to consider occupation ability development focusing on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migration-background youths because intercultural competence can be regarded as an ability which can be applied to occupation while recognizing and protecting individual culture based knowledge and technological attitude, working together and responding one anothe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German trend related to occupation ability development of youths with migration background and find measures to improve occupation ability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intercultural competence of youths with migration background in Korea. In educational program of German migration-background youths, they connected migration to the curriculum and strengthened intercultural competence of migration-background youths as a competitiveness of occupation educational training and labor market.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이론적 배경
Ⅲ. 직업능력개발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Ⅳ. 직업능력개발과 상호문화역량과의 연계성 : 독일의 동향을 중심으로
Ⅴ. 결론 및 논의 : 다문화교육에서의 직업능력촉진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탑파 문화재의 지식 구조와 교육 방안 - 문화재 교육의 이론화 시론 -
- 유아교육연구에서의 의례적 접근 : 주제와 관점
- 다문화적 인성 함양을 위한 음악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삶 속의 실천을 위한 예술 활동 탐색 - 예술 활동의 의미, 실천 방법 및 유형 -
- 미술감상교육에서의 저작권 활용방안 연구 - 미술작품의 공정이용(Fair use)을 중심으로 -
- 영상문화교육을 위한 국내 미디어센터 운영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직업능력개발에서의 상호문화역량 강화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이주배경 청소년 동향을 중심으로
- 5세 유아 해석공동체의 의미구성 과정 탐구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플라톤의 “비유”이야기 속의 인식론과 문화교육적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del for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 양상 연구 : 그래픽 노블과 그림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