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라톤의 “비유”이야기 속의 인식론과 문화교육적 논의
이용수 189
- 영문명
- Suggestions on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Epistemology in Plato s Story of Parable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준영(Zoon-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9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의 선분의 비유와 동굴의 비유 속에 나타난 인식론을 고찰하여 오늘날 문화인의 삶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플라톤의 선분의 비유와 동굴의 비유에서의 인식상태를 개인적 의견, 객관적 의견, 증명된 지식 그리고 지혜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문화인의 정신발전 단계와 대응하여 문화인의 5단계로 제안하였다. ‘1단계 문화인’은 짐작과 추측에 의한 개인적 의견의 원리로 삶을 살아가고, ‘2단계 문화인’은 소신과 신념에 의한 객관적인 의견을 삶의 원리로 살아간다. 그리고 ‘3단계 문화인’은 추론적 인식을 통하여 증명된 지식을 삶의 원리로 삼고 살아가며, ‘4단계 문화인’은 다양한 지식 사이의 관련성을 하나의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변증법적 인식을 삶의 원리로 삼는다. 마지막으로 통합적인 최고의 진리에 대한 깨달음을 터득한 ‘5단계 문화인’은 공동체의 행복한 삶을 위하여 타자가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이 문화인은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의 문화인으로 이끄는 전문가로 활동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 based on a synopsis of Plato s Analogy of the Divided Line and the Allegory of the Cave - implications for a development of a cultured person. Basing on the Analogy of the Divided Line and the Allegory of the Cave , four levels of insight were analyzed: personal opinions, objective belief, mathematical reasoning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wisdom). These levels correspond to mental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cultured persons. The first-phase-cultured person s insight is limited to personal opinion and speculation. The second-phase-cultured person possesses the belief that the principles of living are relatively objective. The third-phase-cultured person gains knowledge through inferential thinking. The forth-phase-cultured person gains direct insight into the essence of ideas and lives in wisdom. Finally, a fifth phase is postulated, basing on the Allegory of the Cave : The cultured person does not rest on his insights but feels the obligation to teach the persons who are still living on lower levels of insight. Doing so, the fifth-phase-cultured person practices as cultural education expert.
목차
Ⅰ. 머리글
Ⅱ. 선분비유의 인식론과 문화 교육적 시사
Ⅲ. 동굴비유의 인식론과 문화 교육적 시사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탑파 문화재의 지식 구조와 교육 방안 - 문화재 교육의 이론화 시론 -
- 유아교육연구에서의 의례적 접근 : 주제와 관점
- 다문화적 인성 함양을 위한 음악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삶 속의 실천을 위한 예술 활동 탐색 - 예술 활동의 의미, 실천 방법 및 유형 -
- 미술감상교육에서의 저작권 활용방안 연구 - 미술작품의 공정이용(Fair use)을 중심으로 -
- 영상문화교육을 위한 국내 미디어센터 운영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직업능력개발에서의 상호문화역량 강화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이주배경 청소년 동향을 중심으로
- 5세 유아 해석공동체의 의미구성 과정 탐구 :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플라톤의 “비유”이야기 속의 인식론과 문화교육적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del for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 양상 연구 : 그래픽 노블과 그림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