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계외상을 경험한 아동의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모성상징에 대한 연구
이용수 836
- 영문명
- A study about the maternal symbols in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of the child who experienced relationship trauma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영주(Lee Young-Joo) 이정숙(Lee Jung-S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제14권 제2호, 77~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maternal symbols by analyzing the sand play therapy process of a child who had experienced maternal relationship trauma. Using qualitative methods, this study examined counseling records containing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f the child during therapy sessions, sand play images created by the child, and counseling records with his mother. The examination reveals the maternal symbols took the form of ‘Terrible Mother’ in the early therapy sessions due to the negative parenting experience of the children. Mid-session, the ‘Good Mother’ archetype begins to emerge. The children repeated fostering play and played that expressed omnipotence. In late-mid-session, the maternal aspects of the Great Mother, who possessed both good and bad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In the late sessions, the primary needs of the children were resolved and the concept of ‘bad but loving real mother’ was expressed. The research here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mother is improved when maternal symbols are understood and expressed positively. As the child s ego develops in a healthy direction, the symptoms of their trauma subsid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례개요
Ⅳ. 연구방법
Ⅴ.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