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625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Sand Play therapy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남다원(Nam Da-Won) 한유진(Han You-Jin)
- 간행물 정보
-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제14권 제2호, 17~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and play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rural South Korea. Eight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untreated control group consisted of 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rural Jeolla Province whose mothers were of foreign descent and nationality. The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4 sessions, 50 minutes each week. Sand play had element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herapeutic healing. Validation of the sand treatment effects was done through pre- and post-experimental audits of the children’s stress and happiness level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of individual stress, home stress and school stress, measured after sand play treatment, were found to b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Second, following sand play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self-character,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area of happiness.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terms of happiness as a whole or in its subcompon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