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의 교원연수 경험과 요구
이용수 147
- 영문명
- Experience and Needs of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 Single Class about Teachers’ Train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조형숙(Cho Hyung-Sook) 김희영(Kim Hee-Young)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18권 제2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의 교원연수 경험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외곽지역의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8월부터 11월까지 연구 참여자별로 각각 개별면담 1회와 집단면담 1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원연수에 대한 단일학급 교사의 긍정적인 경험으로는 ‘우리끼리의 공감대’, ‘우물 안 개구리 탈출하기’, ‘나를 돌아보기’가 있었으며, 부정적인 경험으로는 ‘장학사님이 없어요’, ‘정체성의 혼란’, ‘배워도 적용할 수 없는 내용’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원연수에 대한 요구로는 ‘우리 반은 혼합연령’, ‘1:1 맞춤형 연수’, ‘편의성과 유용성을 동시에’가 제시되었다.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의 교원연수에 대한 경험과 요구를 살펴보는 것은 단일학급 교사를 위한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eacher training of the public kindergarten single class teachers. For this purpose, 12 single class teachers in the outskirts of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8, and each participant had two individual interviews and one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xperiences of teacher of single class about teachers training were ‘consensus among us’, ‘escape from the frog in the well’ and ‘look around me’. Second, the negative experiences were ‘There is no supervisor.’, ‘confusion of identity’ and ‘contents that can not be applied even if they learn’. Based on this, the demand for teacher training was suggested by ‘mixed age class’, ‘1:1 customized training’, ‘convenience and usefulness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hat examin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teacher training of the teachers in the public kindergarten single classroom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single class teach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기 미디어 이용이 초등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 음악개념지도를 위한 보드만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의 시사점과 적용방안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활용을 중심으로-
- 유아대상 수학그림책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내용 분석 (2009년∼2018년도 출판본을 중심으로)
- 동화를 활용한 공정성 관련 교육 활동이 유아의 이타성 및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2세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수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
-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의 교원연수 경험과 요구
- 아버지의 육아환경이 육아참여 및 육아장애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리더십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4-2018년 국내 학술지 및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