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생학, 국가, 그리고 생명정치의 여러 형태들, 1865-1948

이용수  523

영문명
Eugenics, State, and Bio-politique, 1865-1948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호연(Kim Ho-yeon)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6권, 269~310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에서 탄생하여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전반 사이(1865-1948) 세계적으로 확산된 우생학 운동(eugenics movement)의 역사적 궤적을 ‘국가’(state)라는 인식 도구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우생학이 단순히 개인의 적합성(fitness) 확보에 그치지 않고, 궁극적으로는 국가 적합성을 위한 과학으로 기능했음을 밝히고, 이를 통해 통치도구로서의 과학지식, 특히 생의학적 지식이 갖는 유의미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는 우생학史 연구의 의제 확장을 통해 우생학史 연구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해볼 수 있는 신선한 시도가 될 것이고, 우생학 관련 후속 담론의 창출과 생의학과 관련한 여러 사항들에 대한 다층적인 분석틀의 유효성을 인식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더불어 이 연구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생명정치(bio-politique) 담론의 장을 활성화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우생학적 법률을 제정했던 나라들을 민주주의 국가(미국과 영국), 전체주의 국가(독일과 일본), 그리고 사회민주주의 국가(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 그리고 스웨덴)로 구분하여 생물학적 국가주의(biological statism)가 전개되는 양상을 고찰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eugenic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England, Germany, Japan, and Scandinavian countries, which used eugenics as a knowledge of securing state fitness to achieve so-called the biological statism.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eugenic laws of each country. The law is a good basis to figure out that the scientific knowledge of eugenics and the biological quality management for the people are important as a national governing strategy. This study shows that eugenics has a wide variety of ideologies, powers, and practices. However, the research object countries were the same in terms of national efficiency - social progress - biological quality of population - science knowledge - eugenics - law and practice. Specifically, the countries studied had the following common features. The main object of the eugenic law was not only the genetic infertility but also the social․moral disqualification, the fact that the forced infertility treatment was mostly mental illness(or the feebleminded), the racism had permeated the eugenic law, and positive eugenics to improve race and negative eugenics to prevent racial decline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all countries that have enacted eugenic laws have used the scientific knowledge of eugenics as one of the national governing instruments, demonstrating the biological nationalism aspect by realizing the biological quality control of population groups in the form of a law enforcement. In this context, history of eugenics in this countries is an example of bio-politic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민주주의 국가들: 영국과 미국
Ⅲ. 전체주의 국가들: 독일과 일본
Ⅳ. 사회민주주의 국가들: 스칸디나비아 국가들
Ⅴ.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연(Kim Ho-yeon). (2019).우생학, 국가, 그리고 생명정치의 여러 형태들, 1865-1948. 동국사학, 66 , 269-310

MLA

김호연(Kim Ho-yeon). "우생학, 국가, 그리고 생명정치의 여러 형태들, 1865-1948." 동국사학, 66.(2019): 269-3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