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젠더 관점에서 본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007

영문명
Integrating Gender in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Content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xtbooks -
발행기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저자명
조혜승(Cho Hye Seung)
간행물 정보
『국제이해교육연구』제14권 제1호, 107~150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여, 세계시민교육 내에 젠더 이슈를 포함하기 위한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시도교육청에서 발간한 세계시민교육 교과서 3종에 대해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여 내용측면과 형식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세계시민교육 교과서 내 성(불)평등과 관련된 내용이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5.26%, 중학교 교과서에는 3.81%,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8.97%의 비중으로 포함되어 전반적으로 교과서 내 성(불)평등과 관련된 내용이 낮은 비중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성(불)평등과 관련된 내용이 국제 아젠다 혹은 전지구적 문제로 명시되고는 있으나, 젠더폭력, 젠더와 빈곤, 재생산권 등의 성불평등과 관련된 국내외 이슈들이 배제되고 있었다. 교과서의 형식적 측면을 살펴보면 주체적인 세계시민으로서의 여성상을 제시하고 등장인물의 성별 구성의 형평성을 확보하는 등 성평등한 관점을 드러내기도 하였으나, 일부 사례에서는 여전히 여성과 남성의 역할을 구분하며 성 분리적 활동을 통한 성차별적 인식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세계시민교육 내 성평등 이슈의 중요성 및 구조적 성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내용이 확대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국내 세계시민교육의 담론과 실천을 젠더적 관점에서 재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integrate gender issues into GCE. To this end, this research analyzes GCE textbooks published by four Metropolitan City Offices of Education employing content analysis. As results, GCE textbooks rarely include contents related to gender (in)equality by representing 5.26%, 3.81%, and 8.97% of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respectively. In terms of topics, although a word of gender (in)equality is mentioned as an international agenda or a global problems in textbooks, the specific concept of it or various worldwide gender inequalities issues such as gender-based violence, women in poverty, reproductive rights were excluded. In terms of format aspects of the textbooks, the textbooks present gender perspective by describing woman as an independent global citizen, and by ensuring the equality of gender composition of characters. In some cases, however, the roles of women and men in textbooks are still divided, and gender stereotype was recognized through sex=segregated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argues that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contents of GCE by including the importance of gender equality and global structural gender inequality problem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discourse and practice of GCE in Korea from a gender perspectiv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세계시민교육 교과서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승(Cho Hye Seung). (2019).젠더 관점에서 본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이해교육연구, 14 (1), 107-150

MLA

조혜승(Cho Hye Seung). "젠더 관점에서 본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이해교육연구, 14.1(2019): 107-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