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생 글읽기에서의 단어 빈도 효과: 안구운동추적을 통한 학령기 읽기 특성 탐색
이용수 231
- 영문명
- Word Frequency Effect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haracteristics of School-Age Using Eye tracking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최소영(So-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16권 제1호, 123~1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안구운동추적 기법은 자연스러운 글읽기 과정 중에 이해 처리의 양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한다는 점에서 읽기 숙련도에 따른 발달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글읽기의 기본 단위라 할 수 있는 단어 수준의 처리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대표적인 변인으로 단어 빈도 효과를 다루었다. 일반 중학생 14명과 고등학생 20명이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실험 자극은 3음절의 고/저빈도 단어를 포함된 문장으로 빈도 외의 요소는 두 조건이 동일하도록 통제하였다. 표적 영역에서 발생한 고정 시간 및 고정 수 에 대한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단어 빈도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안구운동추적을 통해 읽기 기술이 발달 중인 일반 중고등학생의 문장 처리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추후 연령을 비롯한 읽기 수준에 따른 글이해 과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Eye movement data afford researchers valuable temporal information about exactly when in the reading record a given manipulated variable has an effect. One advantage of using eye movements is data are collected online during silent reading; therefore, they are uncontaminated by memory demands, articulation processes, or conscious strategies. In the present study, the eye movements are measured during Korean-speak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ilent reading tasks. To investigate the word frequency effects, the study employs controlled sentence frames with embedded target words in an experimental design. Word frequency effects are interesting because they can demonstrate if less skilled readers’ mental lexicon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as those of adults. For direct comparison, the participants read 36 experimental sentences using Koh et al.’s (2008) study that contains target words manipulated for high vs. low frequency. The word frequency effects are observed, with significant effects seen in single-fixation duration (cases where only a single fixation is made on a target) and total viewing time (all fixations on a target) eye movement measu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nguistic influences are primary in driving eye movements during read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end in relationship to chronological age and reading ability. As the understanding of less skilled readers’ eye movement behavior while reading increases, measuring eye movements offers a promising approach to char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조절 전략을 활용한 읽기․쓰기 교수가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읽기이해 및 쓰기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 그들은 어디로 갔는가?: 진단, 명칭, 교육에 대한 초등 특수교사 현장 목소리
- 국외 학술지에 나타난 난독증 성인 관련 연구 동향
- 쓰기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 쓰기검사의 타당도: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 중고등학생 글읽기에서의 단어 빈도 효과: 안구운동추적을 통한 학령기 읽기 특성 탐색
- 읽기 및 철자쓰기를 통합한 음운규칙 지도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정확도와 철자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 수학 CBM 기울기의 불편파 추정치 검증: 학생변인의 영향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