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외 학술지에 나타난 난독증 성인 관련 연구 동향

이용수  701

영문명
Analysis of Dyslxetic Adults Research Trends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유종남(JongNam Yoo) 김소희(SoHee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6권 제1호, 69~10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10년 간 국외에서 수행된 난독증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최근 10년간 국외 학술지에 영어로 발표된 난독증 성인을 대상으로 한 4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논문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 특징을 기술하고 연구주제와 방법으로 분류한 후 주제에 따라 특성연구와 정서연구, 평가연구, 기타연구로 분류하여 연구에서 제시하는 연구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8편의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가 21편(약 44%)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의 경우 26편(약 54%)이 난독증의 특성을 고찰하고 있었다. 둘째, 특성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난독증의 특성인 읽기 유창성과 철자 등의 어려움은 시간이 지나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연구의 경우 대부분의 난독인들은 학교에서의 부정적 정서적 경험의 영향을 강력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 및 기타 연구의 경우 평가연구에서는 간편하고 접근성이 좋은 진단도구 개발을 모색하고 있었으며, 또한 난독증이 직업선택, 승진, 육아 등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개인의 문제이자 동시에 사회적 문제이기도 한 난독증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하게 수행되어져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dyslexia researches for adults and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48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18 were reviewed. The selected studies are categorized by research topics and methods after the description of general features of the studies. Then, they are further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s of characteristics of dyslexia, emotion, assessment and others. The result shows the most frequent research method and topic are survey (44%) and characteristics of dyslexia (54%) respectively. The result of analysis of studies on characteristics, the problem of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persists at a high level for dyslexic adults. The analysis of emotion researches shows that most students with dyslexia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t school. The examination of researches on assessment reveals the trend of developing more simple and practical assessment scales, and the rest of researches show the effect of dyslexia over daily life such as job search, promotion at work and child rearing. The research result brings the conclusion of the need for more active research on dyslexia with varied topics in the fiel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종남(JongNam Yoo),김소희(SoHee Kim). (2019).국외 학술지에 나타난 난독증 성인 관련 연구 동향. 학습장애연구, 16 (1), 69-100

MLA

유종남(JongNam Yoo),김소희(SoHee Kim). "국외 학술지에 나타난 난독증 성인 관련 연구 동향." 학습장애연구, 16.1(2019): 69-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