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검도참여자의 여가관여도, 유능감 및 몰입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4
- 영문명
-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Involvement, Competency, and Flow Experience for Kendo Participants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윤지인(Yoon Jee In) 한정민(Han Jeongmin) 한진욱(Han Jinwook)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17권 제1호, 15~3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검도참여자의 여가관여도, 유능감 및 몰입경험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인검도대회 참여자 중 설문조사에 사전 동의를 구한 3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다. SPSS 23.0으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고, LISREL 8.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검도참여자의 여가관여도의 하위요인 중 중심성, 자아표현이 높아질수록 검도활동에 대한 유능감을 높아지고 있었다. 둘째, 검도참여자의 유능감은 몰입경험의 모든 하위요인(자기목적적 경험, 수련몰두, 수련과정 통합, 행동의식 일체, 도전과 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신적 수련과 몰입이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검도활동에서 여가관여도의 수준이 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몰입경험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여가활동에서 나타나는 몰입경험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involvement, competency, and flow experience among Kendo participa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41 Kendo participants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ith SPSS 18.0 and LISREL 8.70, we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o examine our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study offered support for our model in that two dimensions of leisure involvem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feelings of competency. Also, the feelings of competency positively influenced all dimensions of flow experience(autotelic personality, absorption, integration, merging of action and awareness, and challenge/control. The findings of our study demonstrated the nature of involvement - flow experience relationship, which was mediated by the feelings of competenc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could be generalized to other group of leisure participa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