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숲활동을 위한 위험감지 및 위기대처능력(CSDCC)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이용수 121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SDCC (Capabilities of Sensing Danger and Coping Crisis) assessment tool for forest activitie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정대현(Jung, Dae-Hyun) 임희수(Lim, Hee-Soo)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3권 제3호, 177~20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숲활동을 위한 유아의 위험감지 및 위기대처능력(Capabilities of Sensing Danger and Coping Crisis: CSDCC)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C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4~5세 유아 302명이었다. 구성 요인 추출과 내용타당도 평가, 예비검사를 거쳐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4개의 요인(환경지각, 사고예측, 위기판단, 신변보호)과 33개의 문항이 추출되었고, 측정 도구의 하위 영역 간의 상관계수는 p < .05 수준에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문항 변별도와 문항 반응분포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α계수는 전체 .70으로 신뢰할만한 수준이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총 4영역, 33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숲활동을 위한 유아의 위험감지 및 위기대처능력(CSDCC) 측정 도구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가 유아의 숲 안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 숲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며, 더 나아가 숲 안전교육의 적합한 활동을 구성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SDCC(Capabilities of Sensing Danger and Coping Crisis) assessment tool for forest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2 children aged 4~5 years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fter constructive factor extraction, content validity, and preliminary test,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nstructed and validated.
As a result, 4 factors and 33 items were extrac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assessment tool made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sub-regions. The validity of the model was ver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ronbach’s α’s was .70 for reliability. Through this study, the CSDCC measurement tool for forest activities was developed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숲활동을 위한 위험감지 및 위기대처능력(CSDCC)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 보육교사의 실존 역량 조사: 학력과 직무만족 수준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기관의 알림장 운영과 효과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공동양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봉사-학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 인식과 요구도 조사
- 보육교사의 자기 조절력이 임파워먼트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상상력에 대한 이해 탐구: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을 중심으로
-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 만 4세 유아의 아버지가 지각하는 부모역할지능, 훈육방식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