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가정음악환경과 음악참여가 음악교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10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the Music Engagement of the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on Music Teaching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Music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숙(Lee, Mi-sook)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4호, 129~15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의도와 관련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가정음악환경과 음악참여, 음악교수효능감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음악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예비유아교사 26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적으로 240부를 연구 자료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참여와 음악교수효능감은 음악교수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음악교수효능감은 가정음악환경과 음악교수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음악참여와 음악교수의도와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를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예비유아교사 프로그램의 음악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과 다양한 음악참여를 통해 생활 속에서 음악을 즐기고 활용하는 교사 스스로의 능동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relation to music teaching intention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fluences of th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the music engagement, and the music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usic teaching efficacy.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26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inally, 240 copies were used as the research materials. To analyze the data,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PASW 18.0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the music engagement and the music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influences on the music teaching intention. Regarding the music teaching efficacy, it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the
music teaching intention, and it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engagement and the music teaching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y that a plan for increasing the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proactive endeavors of the teachers to enjoy and use music through diverse musical engagement in daily lives must be sought aft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