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들의 인성 및 도덕성 향상을 위한 창작동요 지도방안 연구
이용수 306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Children’s Song fo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 and Moralit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윤관기(Yun, Gwan-Ki)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4호, 107~1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인성 및 도덕성 향상을 위해 창작동요를 활용한 수업지도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음악은 예로부터 정서함양은 물론 윤리적 행동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도구로서 그 효과를 검증해 왔으며, 음악양식뿐만 아니라 음악 가사 또한 공동체 속에서 도덕성 발달에 관여한다고 볼 수 있다. 그 일환으로 동요를 활용한 아동의 개도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그 중에서 창작동요는 그 개발과 함께 많은 의도를 지니고 불려 왔다. 무엇보다 창작동요는 교육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계몽동요’ 라고 불리기도 하며, 우리 사회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도덕적 또는 윤리적 내용을 내포하고 있어 어린이들의 인격 형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창작동요의 가치를 이해하고 그 가사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파악하는 한편, 음악수업에서 통합적 교수 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창작동요를 지도한다면 아이들의 인성 및 도덕성을 충분히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ance pl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utilize creative motions to improve their character and morality. Music has been proved as a tool to induce emotional behavior change as well as emotional development, and musical lyrics as well as musical forms are also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n the community. As a part of that, children s awareness using the children’s song has been consistently done. Among them, children’s song has been widely sung with many intentions along with its development. Above all, it is called Enlightenment Song because it contains educational value, and it is aimed at forming the character of children because it contains moral or ethical contents to teach in our society. Understanding the value of this children’s song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lyrics, and applying th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the music lesson,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character and mora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인성 및 도덕성 향상을 위한 창작동요 분석
Ⅳ. 창작동요 지도 실제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