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골드버그 장치를 활용한 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
- 영문명
- The Effect of STEAM Education using Rude Goldberg Machine on the Primary Learner`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정훈(Kim Jeong-hun) 김효남(Kim Hyo-nam)
- 간행물 정보
- 『초등교과교육연구』제25호, 43~5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using Goldberg Machine device on the Primary Learner’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imary Learner’s Scientific Inquiry ability was meaningfully affected by using Goldberg Machine device in context to STEAM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overall improvement in regard to the change of scientific inquiry. More specifically there was the evidence of meaningful effects in observing, inferring, establishing hypothesis, and controlling variable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re and post tests in regards to the overall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STEAM education using Goldberg Machine device. However,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appeared in understanding of science education, interest in science-related jobs and critical ability. In conclusion, by giving differentiated leveled homework based on students’ interest,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positive effects regarding the Primary Learner’s Scientific Inquiry Ability while using Goldberg Machine device for STEAM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창의성ㆍ인성 발달을 위한 협동적 체육수업 모형 개발 탐색
- 창의ㆍ인성 프로그램을 적용한 체육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체육수업 태도 변화
- 골드버그 장치를 활용한 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국어교과와 타 교과 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 초등 과학 읽기 자료와 탐구 자료 활용 수업의 효과
- 아침체육활동이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역할놀이 활동을 통한 영어기능통합이 초등학생 어휘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 2009와 2015 영어와 교육과정 내용 체계 연계성 비교 연구
- 유ㆍ초등 문학교육 내용 연계 연구
- 초등학교 국어수업에서의 교사 시작 대화연속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