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소득층 학부모의 교육권 한계와 권한 강화방안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n limits and empowerment of parents power of low-income parent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권정숙(Jung-Suk Kwon) 임선희(Sun-Hee Lim)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7권 제3호, 159~1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학부모 권한의 계층적 특성에 관심을 가지고, 특히 교육실천에서 학부모 권한의 현실을 살펴보고 교육소외집단으로서 저소득층(경제적 측면에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학부모 권한의 한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학교현장에서의 학부모 참여 현실을 통해 학부모 교육권의 한계를 분석하고 저소득층 학부모의 권한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부모의 권한이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그들이 처한 다양한 사회경제적 배경이나 현실에 따라 이해와 욕구를 달리하는 이질적인 집단이므로 이들의 요구와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학교문화와 소통 창구를 형성해야 한다. 둘째, 저소득층 학부모의 학교참여를 위해서는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가능할 것이다. 즉 저소득층 학부모의 교육력 향상, 저소득층 학부모의 요구를 고려한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학부모교육 활성화, 사회적 포용정책의 지속적 확대 등을 통해 그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학부모로서 주체적 삶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Under the current educational milieu, school plays much more important role than parents of students in educating their children in every schooling activities. Although parents should have taken part in the process of every educational field more actively, it is not too much that they have no initiative authority against their children`s educational rights. In view of educational participant and parents power, especially, parents should take the different interests by their socio-economic status or social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brought out limits of participation and power of parents and empowerment of low-income parents. And we explored possibility of their empower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low-income parents faced many obstacles to participation in school governance. We can conclude that in order to ensure parents power,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each school has parents participation program for every parents. And for empowerment of low-income parents 1) to improvement of educational opportunity 2) to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their needs 3) to activate of parent education 4) to increase of the social inclusion policy continuousl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학교교육에서 학부모 권한의 현실
Ⅳ. 저소득층 학부모 교육권한 강화방안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